'이케아세대' 청년실업률 11.1%…99년이래 최고(상보)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오종탁 기자]'이케아세대'로 불리는 청년층의 실업난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청년실업률은 1999년 통계기준 변경 이후 최대수준인 11.1%까지 치솟았다. 아르바이트 학생 등 공식 수치에 잡히지 않는 청년층까지 포함할 경우 두배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실업률은 4.6%로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11.1%로 전월 대비 1.9%포인트 껑충 뛰었다. 이는 1999년6월 실업률 통계기준을 구직기간 1주에서 4주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으로 지표를 작성한 같은해7월 이래 최대치다. 일본(6.6%), 독일(6.9%) 대비로도 훨씬 높다.

지난달 실업자는 120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4000명(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실업자는 48만4000명으로 1만1000명가량 늘었다. 전월 대비로는 약 90만명 늘어난 규모다. 통계청 관계자는 "청년층과 50대를 중심으로 구직활동이 늘어나며 실업자가 증가하고 실업률이 상승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청년실업률 상승은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협력사 간 일자리 격차가 심화되며 청년층의 취업준비기간이 늘어나고 있는데다, 정부의 청년고용대책이 좀처럼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최근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올해 정책역량을 청년고용대책에 집중시킬 것"이라며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 대기업의 임금피크제 도입, 공정한 룰에 의한 청년고용 걸림돌 해소, 고용의 탄성치 등 세가지를 꼽기도 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실업과 이에 따른 근로자 고령화가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갉아먹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월 취업자 증가폭은 2개월 연속 30만명대에 머물렀다.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만6000명 늘어난 2519만5000명으로 파악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제조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 증가세가 지속됐으나 농림어업 감소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상용근로자는 38만3000명, 임시근로자는 6만2000명, 일용근로자는 2만명 각각 증가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는 5만9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3만명 각각 줄었다.

2월 고용률은 58.8%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이 되는 15~64세 고용률은 64.9%로 전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공식적인 실업자 외에 주 36시간 미만의 불완전 취업자, 잠재적 경제활동인구 등을 모두 포함한 고용보조지표3(Labour underutilization3)은 12.5%를 나타냈다. 지표 추계를 시작한 작년 5월 이후 가장 높다. 같은 달 공식실업률을 2.7배 웃도는 수준이다.

고용보조지표는 이른바 공식집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실업상태인 '잠재노동력'을 공식 실업자와 함께 고려해 실업률을 산출한 지표다.

이밖에 2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642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만3000명(0.5%)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4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