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 철학 담은 '서울형 도시재생'의 방향은?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사람특별시'를 강조한 박원순 서울시장의 도시개발 패러다임이 민선6기 시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가 9일 내놓은 도시재생 사업의 기본 방향 또한 '사람'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역주민과 이웃이 주체가 돼 공동체를 살리면서 서울이 갖는 지형적 특성과 역사, 삶의 흔적을 담는 도시재생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여기에는 그동안 ▲한국전쟁 복구와 산업화(1960년대) ▲도시 확장 및 신시가지 개발(1970~90년대) ▲균형발전(2000년) 등 시대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공간에 재생이 이뤄져 왔지만, 그 가운데 사람이 소외되고 서울의 자산과 미래세대 또한 고려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는 반성이 전제됐다.

이에 따라 앞으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 지역' 27곳에 대한 도시재생 사업은 무엇보다 사람이 중심이 되고 서울이 갖는 정체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특히 사업의 계획부터 실행까지 전 과정을 주민과 함께 추진한다. 지역 재생계획과 실행 과정에 참여해 주민자생력을 높이고 장래에는 주민이 직접 기획, 제안, 사업을 추진토록 하는 것이 궁극적 방향이다.또 기존의 모두 헐고 새로 짓는 획일적 철거 재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맞춤형 정비가 이뤄지게 된다. 지역의 산업·경제·자연·문화·역사자원의 특성을 존중해 지역맞춤형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단순히 건물이나 공간을 바꾸는 단기적이고 물리적 성과보다는 지속성 있는 동력 형성에 주력한다. 일본 나가하마의 민관협력형 도시재생이나 영국 런던 코인스트리트의 사회적기업 주도의 도시재생 등 외국 사례를 보면 약 30년간에 걸쳐 현재까지 진행중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 투자는 지역 활력을 이끌어내는 공공의 마중물 사업에 집중한다. 시가 먼저 나서 공공시설을 만들어 민간의 투자 촉진함으로써 지역의 경제발전을 선도해 나간다는 내용이다.

이제원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은 무문별한 개발이 이뤄졌던 과거를 반성하고 저성장시대에 맞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했다"며 "시민이 함께 만들고, 함께 잘살고, 함께 행복한 100년 서울을 지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