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전자 실질 임금상승 4.2%, 동결 아니다"

"성과급 비중, 연봉 60%인 삼성 특유 연봉 체계 탓"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기업들의 임금 인상을 독려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경영자총회에선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임금 인상분을 최소화 할 것을 권고하며 정부와 재계의 입장이 대치되는 상황이다.

정부와 경총이 대립각을 세우기 직전 기본임금 동결을 결정한 삼성그룹 역시 난처해졌다. 삼성전자의 경우 기본임금은 동결했지만 실질 임금은 상승했고 나머지 계열사 상당수는 기본임금도 인상했지만 삼성전자가 갖는 대표성 때문에 그룹 전체가 임금을 동결한 것처럼 비춰지고 있어 이례적 해명에 나섰다.

9일 삼성그룹은 "삼성전자의 임금 인상은 기본급인상분에 호봉승급분(비 연봉제 직원) 또는 성과인상률(연봉제 직원)을 더하는 것으로 이뤄진다"면서 "기본급인상분은 동결했지만 호봉승급분과 성과인상률은 그대로 유지됐기 때문에 삼성전자 전 사원의 올해 평균 임금은 동결이 아닌 2.3%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삼성그룹은 통상임금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가 통상임금에 포함되며 전년 대비 잔업, 특근수당 인상 효과가 평균 1.9% 수준에 달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2015년 삼성전자의 실질 임금상승은 4.2%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삼성그룹은 "타 그룹사의 경우 임직원이 한해 받는 총 급여를 기준으로 연봉 인상률을 책정하는데 삼성전자의 경우 기본급만 동결했고 호봉, 인센티브는 모두 인상됐다"면서 "삼성 특유의 연봉구조 특성상 성과급 비중이 높은데 개인별 계약연봉 대비 성과급 비중이 무려 60%에 달해 기본급 동결은 실질적인 임금 인상률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말했다.

삼성그룹은 계열사 대부분이 임금을 동결하고 있다는 지적도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기 등 전자계열사 일부가 기본임금을 동결했지만 삼성SDI를 비롯해 나머지 계열사들은 회사 사정에 따라 1~3.5% 사이에서 임금 수준을 결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임금인상폭은 사별로 노사협의를 통해 결정되는 만큼 관계사별로 다르다"면서 "올해의 경우 0~3.5%로 각 사별로 다양하며 아직 노사협의 중인 관계사가 많은 만큼 기본임금 동결도 최소화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