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예방법이 가장 중요…딱 ‘6가지’만 지키면 걱정 끝

안구건조증, 예방법이 가장 중요…딱 ‘6가지’만 지키면 걱정 끝

자료사진

자료사진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기자] 정보기술의 발달로 실내 활동 시간이 늘어나면서 안구 건조증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안구 건조증은 완치가 어려워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안구 건조증은 눈물샘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안과 질환으로, 봄에는 유해 물질을 함유한 황사(미세먼지) 탓에 결막염을 동반한 안구 건조증이 잘 발생한다. 눈이 가렵고 눈물이 많이 나며 빨갛게 충혈되거나, 뻑뻑하고 이물감이 느껴지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은 날은 눈물 분비에 어려움을 더 겪는 경향이 있으며 독서나 공부, 컴퓨터 작업을 오래 하거나 TV, 태블릿PC 등을 장기간 응시하는 것도 안구 건조증을 악화한다. 안구 건조증은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다. 병원에 방문하면 증상을 호전시키고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 중 본인의 눈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된다. 건성안이 아주 심할 경우 각막이 말라 시력이 심하게 저하되기도 한다.

안구 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 8~10컵 정도의 물을 마셔야 한다. 책을 읽거나 TV를 볼 때 각막을 덮고 있는 눈물층이 잘 작용할 수 있도록 눈을 자주 깜박이거나 책이나 TV를 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에 둠으로써 눈꺼풀 틈새를 작게 해주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또 눈이 따가울 때 비비지 말고 깨끗한 물이나 식염수로 헹궈야 한다. 실내 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사용해 습도를 60% 전후로 맞추면 눈물의 증발을 줄일 수 있다.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책을 읽을 때는 1시간마다 10분씩 휴식하고, 가벼운 눈 운동을 해주면 좋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은 “안구건조증 예방법, 완치가 안 되는구나” “안구건조증 예방법, 10분씩 쉬어야지” “안구건조증 예방법, 눈 너무 아파” “안구건조증 예방법, 황사 중국 싫다” “안구건조증 예방법, 조심조심”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이슈팀 기자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