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회장의 결단…롯데, 올해 7.5兆 투자 '사상 최대'

[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롯데그룹이 올해 사상 최대 규모인 7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내수 경기 침체 등 어려운 경영 여건 속에서도 지난해 투자액 5조 7000억원보다 30%이상 늘린 수치다. 이 같은 결정은 지속적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찾아가겠다는 신동빈 회장의 의지에 따른 것이다.

신 회장은 최근 정책본부 주요 임원회의에서 “경영 환경이 좋지 않아도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껴서는 안된다”며 “트렌드 변화에 대한 철저한 준비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해 채용 인원도 지난해보다 늘어난 1만5800명으로 정했다. 롯데는 지난 2010년 이후 해마다 채용규모를 늘려오고 있다. 투자와 고용 확대를 통해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 정책에 적극 동참한다는 취지다. 롯데는 올해 미래성장 사업 기반 확대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사업부문별 투자액을 보면 유통부문 3조4000억원을 비롯해 중화학ㆍ건설부문 1조5000억원, 식품부문 1조원, 관광ㆍ서비스 부문 1조1000억원, 기타부문 5000억원 등이다.

유통부문에서는 아울렛과 마트 등 신규점 오픈과 함께 옴니채널 구축에 투자가 집중될 전망이다. 롯데는 옴니채널을 유통무분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

옴니채널은 온ㆍ오프라인, 모바일 등 소비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쇼핑 채널들을 유기적으로 융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롯데는 국내의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바탕으로 옴니채널을 구축해 글로벌 유통업체들의 국내 시장 진입에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이는 신 회장이 지난해 11월 그룹 사장단회의에서 “롯데가 옴니채널을 성공시킨다면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유통기업에도 지지 않을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하는 등 옴니채널 구축에 강한 의지를 보인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중화학ㆍ건설 부문에서는 롯데케미칼이 원료 다변화를 통한 원가경쟁력 제고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석유화학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저가의 셰일가스를 기반으로 한 에탄크래커(에틸렌 제조 원료) 플랜트 건설을 시작한다. 미국 석유화학 기업인 엑시올사(社)와 합작으로 추진 중인 이번 프로젝트는 2018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총 1조5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총 투자비 3조7000억원이 투입되는 롯데월드타워&몰 건설 사업도 2016년말 완공을 목표로 지속적인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

식품부문에서는 청소년ㆍ유아 감소, 고령 인구 증가 등 인구구조 변화와 식품 산업 저성장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웰빙ㆍ프리미엄 제품 개발과 해외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또 ‘물 타지 않은 맥주’라는 제품 컨셉으로 지난해 출시 이후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클라우드 맥주의 생산설비 증설을 추진한다. 현재 가동 중인 충주 제1공장 증설을 상반기까지 마무리하고, 2017년까지 총 6000억원을 투자해 제2공장도 건설할 계획이다.

관광ㆍ서비스 부문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 추세를 활용한 지속성장 기회 포착과 해외 진출 확대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주력한다. 롯데호텔은 2015년 상반기 롯데 시티호텔 울산을 시작으로 10월 롯데 시티호텔 명동, 12월 롯데 라이프스타일호텔 명동을 개관한다. 롯데호텔은 아시아지역을 기반으로 해외 진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2018년까지 국내외에 40개의 호텔 체인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천공항 면세점 3기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4개권역을 확보한 롯데면세점은 인천공항 사업 확대를 통해 글로벌 면세점과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을 공고히 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동남아 지역과 일본 시내에도 면세점 입점을 추진하면서 해외사업 확장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