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광산구, ‘광산 데이터 뼈대(Back-Bone)’구축 착수

"29개 부서 수집 데이터 가공·개방…과학행정·주민편의 목적"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광주 광산구(구청장 민형배)가 ‘광산 데이터 뼈대(Back-Bone)’를 구축하기로 했다. ‘광산 데이터 뼈대’는 광산구 29개 부서가 주민민원 처리 및 자치단체 운영 과정에서 수집한 가장 기초 데이터이자, 이후 가공해 확장할 수 있는 바탕이 되는 데이터.

기존 각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수집에만 그쳤던 이런 자료들을 과학행정 구현과 주민편의 증진을 위해 통합·관리하겠다는 것이다. 나아가 광산구는 이 사업을 부서 간 칸막이를 본격적으로 없애는 계기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광산구 각 부서가 현재 생산하고 있는 데이터는 210여종. 광산구는 먼저 이 데이터를 교육복지·안전 등 7개로 분류 주제별로 통합·관리한다. 여기에 경찰서·소방서 등 유관기관 통계 데이터까지 흡수해 풀(pool)을 넓히고, 민원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데이터까지 더해 확대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광산 데이터 뼈대’구축 사업은 데이터의 종류와 형식에 대한 규격화·표준화를 기본으로, 개인정보 개방 최소화도 큰 축으로 삼아 진행한다.

올 4월 ‘광산 데이터 뼈대’구축이 완료되면, 공직자들이 모든 정보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지금보다 거시적·종합적인 정책 판단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광산구는 내다보고 있다. 나아가 업무효율성 향상도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광산구는 ‘광산 데이터 뼈대’를 주민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시각적 디자인을 더해 ‘정책이 보이는 통계’도 올해 안에 선보일 예정이다.

나기형 통계팀장은 “‘광산 데이터 뼈대’구축은 부서 간 칸막이 없는 정부를 표방하는 ‘정부3.0’에 딱 맞는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부서 간 소통과 데이터 개방이 더 나은 주민생활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해섭 기자 nogar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