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수의 딜레마' 뜻 "자신의 이익만 바라보다 서로에게 나쁜 결과 발생"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자료사진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원본보기 아이콘

'죄수의 딜레마' 뜻 "자신의 이익만 선택하다 서로에게 나쁜 결과 발생"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죄수의 딜레마 뜻이 네티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죄수의 딜레마는 게임 이론의 유명한 사례로 경제학뿐만 아니라 심리학, 국제 정치학 등 다양한 방면에 활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협력적인 선택이 양자의 최선의 선택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익에 치중한 선택으로 인해 서로에게 나쁜 결과를 야기하는 현상을 말한다.하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게임 이론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게임 이론은 전략적인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로, 현실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상황을 단순화해 두 사람 사이에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연구한다.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황은 어느 한 사람의 선택이 상대방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 의존적이며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합리적인 선택을 할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죄수의 딜레마는 또한 비-제로섬 게임의 일종으로, 비 영합 게임으로도 불린다. 비-제로섬 게임이란 상호 의존적 관계에서 한 사람이 매우 큰 이득을 얻게 되더라도 다른 한 사람에게 큰 손해를 유발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에 제로섬 게임 또는 영합 게임은 미국의 정치 경제학자 레스터 서로가 1981년에 발표한 저서 '제로섬 사회'에서 유래했으며, 비-제로섬 게임과는 다르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상호 의존적인 상황에서 모든 이득의 총합이 제로가 되는 경우를 말한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