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고위험군 234만 가구…빚있는 가구 중 20%

상환 어려운 '한계가구', 137만 가구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지난해 가처득소분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이 40%를 웃도는 가구가 234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자산을 모두 처분해도 빚을 갚을 수 없는 '한계가구'도 137만 가구에 달했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기준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한국은행에 의뢰해 받은 '가계부채 한계가구 분석' 자료를 보면 부채상환부담률(DSR)이 40%를 넘는 가계부채 고위험군은 234만 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19.4%, 전체 가구의 12.7%를 차지했다.

부채상환부담률은 1년 동안의 가처분소득 중 원리금상환액이 차지하는지 비중을 보여주는 지표다. 비율이 높을수록 소득의 상당 부분을 빚과 이자를 갚는데 쓰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통상 40%를 초과하면 가계부채 고위험군, 즉 잠재적 한계가구로 분류된다.

가계부채 고위험군은 해마다 그 비율이 늘고 있다. 2012년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14.2%에서 지난해에는 5.2%포인트(약 78만 가구)가 더 늘었다. 부채 상환 압박이 2년 전보다 더 심해진 것이다. 금융자산을 처분해도 빚을 전액 상환할 수 없는 한계가구는 지난해 137만 가구로 금융부채 가구의 12.5%에 달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2.1%포인트(약 26만 가구) 늘었다.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가계부채 고위험군과 한계가구 비중이 높았다.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소득 1분위의 경우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 중 각각 28.6%, 21.7%가 고위험군과 한계가구에 해당했다. 반면 소득 5분위의 경우 각각 15.9%, 9.4%로 1분위의 절반에 그쳤다.

임금노동자 보다는 자영업자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가구의 경우 네 가구 중 한 가구가 가계부채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계가구는 15.3%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40대 가구에서 고위험군(15.8%), 한계가구(8.9%)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기준 의원은 "2년 전보다 가계부채 고위험군과 한계가구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며 "금융안정, 서민경제 보호 관점에서 이들 가계부채 취약계층에 파격적인 채무조정을 비롯한 선제적인 대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