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업생산액 43조원…전년비 2.1%↓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올해 농업생산액이 43조8900억원으로 전년대비 2.1% 감소할 전망이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5 농업전망에 따르면 농업생산액은 감소한 반면 농업소득과 농가소득은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농업생산액 가운데 재배업 생산액은 지난 2년 연속 농산물 가격이 낮아서 재배면적이 줄고 단수도 감소해 전년대비 1.2% 감소할 전망이다.

축산업 생산액은 돼지 사육두수 증가 영향으로 가격 하락폭이 커서 전년대비 3.4% 감소가 예상된다.

호당 농가소득은 3668만원으로 전년대비 2.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품목별로 올해 연평균 쌀 가격은 80kg에 16만9000원 내외로 전망된다.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1.8% 감소한 80만1천ha, 쌀 생산량은 401만t이 예상된다.

과일 가격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높을 전망이다. 사과 배 포도 감귤 단감 복숭아 등 6대 과일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0.4% 증가한 11만ha 수준으로 평년 단수를 적용하면 과일 생산량은 전년보다 2% 감소가 예고된다.

작황이 평년 수준일 경우 올해 사과 생산량은 다소 증가하겠지만 배, 감귤, 단감, 포도, 복숭아는 감소할 전망이다.

채소 가격은 전반적으로 전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배추와 무, 양배추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각각 4%, 3%, 6% 감소하며, 양배추와 당근 생산량은 각각 5%, 9% 내외 감소가 예상된다.

건고추 재배면적은 전년과 비슷하고, 마늘과 양파는 전년대비 각각 4%, 8% 감소하며, 대파 재배면적도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건고추와 마늘의 가격은 평년과 비슷하며, 양파는 수확기인 4월까지는 작년말 낮은 수준이 유지되나 수확기 이후에는 상승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파 가격은 전년과 비슷한 낮은 수준이 예상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4.2% 상승한 kg당 1만4878원으로 전망되며, 돼지고기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11.6% 하락한 kg당 4241원으로 전망된다.

한육우 사육 마리수는 전년 대비 3.6% 감소한 266만마리, 돼지 사육 마리수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연평균 1001만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