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약세 지속으로 금화 판매도 꺾였다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2013년 금값 폭락 시기에도 버텼던 주요국 금화 판매가 계속되는 금값 하락에 지난해 결국 고꾸라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재무부 산하 조폐국(Mint)에 따르면 지난해 아메리칸 이글 금화 판매량은 52만4500온스를 기록해 2013년 보다 39% 감소했다. 호주 조폐국의 금화 판매량도 37만3351온스로 2013년 보다 28%나 줄었다.금화는 금 관련 금융상품과는 달리 쌀 때 사두려는 소비자 심리가 더 강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2013년 금값 폭락 시기 속에도 금화 수요는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었다.

지난해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1150~1350달러 선에서 움직였으며 연간 가격 낙폭은 1.8%를 기록했다. 2013년 가격 하락폭 28% 보다는 크지 않지만 계속되는 금값 약세 분위기에 금화 판매량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금협회(WGC)도 지난해 주요국 금화 판매 감소에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의 금 수요 부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다만 금화와는 대조적으로 은화는 저평가 매력이 부각돼 지난해에도 꾸준한 수요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조폐국의 은화 판매량은 지난해 4400만온스를 기록해 2013년 4270만온스 보다 증가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