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평화연구소 “北 동북아 안정 최대 위협국"

글로벌테러지수 보고서 발표

[아시아경제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북한은 테러위협에서 비교적 안전한 국가군에 속하지만, 동북아시아 지역 안정의 최대 위협국으로 평가됐다.

글로벌 테러지수 순위

글로벌 테러지수 순위

원본보기 아이콘
호주에 본부를 둔 국제 비영리기구 경제평화연구소(IEP)가 최근 공개한 '2014 세계 테러지수 보고서(Global Terrorism Index 2014 report)'에 따르면, 북한의 테러위협 정도는 전체 조사국 162개국 중 124위로 테러 위험이 크지 않은 나라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최악의 테러 위협 상황인 10점에서 위협이 없는 0점까지를 평가한 보고서에서 북한은 한국과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40개국과 함께 0점으로 평가받았다.

경제평화연구소는 테러를 특정목적을 가진 개인 또는 단체가 살인이나 납치, 유괴, 저격, 약탈 등 다양한 방법의 폭력을 행사해 사회적 공포상태를 일으키는 행위로 정의했다. 이에 따라 최근 몇년 동안 이같은 성격의 폭력 행위가 북한에서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을 0점으로 평가했다.경제평화연구소의 대니얼 히스로프 책임연구원은 24일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테러 위협은 크지 않지만, 군비지출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위협하는 나라"라고 주장했다.

대니얼 히스로프 연구원은 "국내총생산(GDP)의 20% 이상을 군사비에 쓰는 나라는 북한밖에 없다"면서 "과도한 군비 지출로 이웃국가를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전세계에서 발생한 테러로 1만7958명이 숨졌으며, 이중 82%가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시리아 등 5개국에서 집중 발생했다.테러는 ISIL,카이다,보코,하람,탈리반 등 5개 집단이 주도했다.

지난해 테러로 사망한 숫자는 2012년의 1만1133명에서 61% 늘어났고 발생 숫자 또한 6825건에서 9814건으로 44% 늘었다.

불안정안 정부와 불평등한 사회 그리고 높은 범죄율이 테러지수가 높은 나라의 공통점이라고 경제평화연구소측은 덧붙였다.

경제평화연구소의 보고서는 테러가 주로 무고한 시민을 상대로 저질러졌으며, 전체 90% 이상이 광범위한 인권침해가 일어나는 국가에서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테러의 횟수만 많아진 게 아니라 그 강도도 점점 더해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무고한 희생자를 줄이기 위한 국제사회 공동노력을 강조했다.




박희준 외교·통일 선임기자 jacklon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