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대표 만남은 이뤄졌지만, 세월호특별법 합의는…

김영우 "특검 추천 방식 변경, 고려하기 힘들어"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대위원장 사이의 대화채널이 22일 가동됐지만 국회를 꽉 막고 있는 세월호 특별법이 해법을 도출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영우 새누리당 대변인은 23일 MBC 라디오 프로그램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 대표와 문 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어제 모임은 기본적으로는 말씀하신 것처럼 문희상 의원이 야당의 비상대책위원장을 새로 맡게 됐는데 그렇게 돼서 이제 상견례 하는 자리"였다며 "세월호특별법 특히 또 뭐 진상조사위나 아니면 그 특검추천위원과 관련된 여러 가지 안에 대해선 전혀 얘기가 나오지 않은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김 대변인은 세월호 사고 특검 추천 방식 변경을 통한 여야 합의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특검추천위원 여야 동수로 이렇게 추천을 하게 돼 있는데 상설특검법에 그렇게 정해져 있다"고 전제하며 "2차 여야 원내대표 합의안을 벗어난 그 특검추천위원자체를 완전히 야당이 추천의 풀 자체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상설특검법 이거 완전히 다시 다 개정해야 한다"며 "새누리당으로서는 고려하기 힘든 안"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기본적으로 그 특검추천위원과 관련된 사안이라든지 아니면 진상조사위의 수사권, 기소권 관련된 문제 이것은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이것은 단순히 양보와 타협의 문제라기보다는 그야말로 헌법, 또 사법적인 그 근간을 흔드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것은 타협이나 양보의 문제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김 대표와 문 위원장 간의 대화에서 희망을 찾았다. 유기홍 새정치연합 대변인은 "상견례 의미이긴 했지만 두 분이 가진 정치적 무게나 여러 가지로 봐선 정치복원, 대화재개의 굉장히 중요한 화두를 던진 그런 만남이었다고 생각된다"고 의미부여했다.유 대변인은 세월호특별법 여야 협상과 관련해 "원내대표 간의 협상 과정에서 모든 것이 정해져야 되는데 뭐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수 있고 저희는 수사권 기소권의 원칙 위에서 그러나 좀 유연하게 뭐 여러가지 방안을 가지고 원내대표에게 권한을 주고 협상을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주는 문제는 접을 수도 있는 뜻'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대해 "협상이라는 건 상대가 있는 문제"라고 답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