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본격 추진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 3사와 40여개 중소 기자재 업체, 산업단지공단과 공동으로 '해양플랜트 밸브 국산화협의회(밸브 클러스터)'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협의회는 최근 엔케이를 운영 주간사로 선출했으며 이날 창립 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협의회는 앞으로 해양플랜트 밸브의 국산 개발 방안과 함께 해외 벤더와 합작사 설립, 투자 유치 등 국내 공급 기반을 확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부유식 원유 생산ㆍ저장ㆍ하역설비(FPSO) 등에 사용되는 해양플랜트 밸브는 원유, 가스, 모래, 해수 등 다양한 유동물질에 노출되고 극한 환경에서 활용돼 특수소재로 제작해야 한다.

높은 수준의 품질, 신뢰성, 안전성이 요구되는 품목 특성상 발주처가 공급사를 지정하거나 기존 납품실적(track-record)을 요구하기 때문에 중소 기자재 업체의 시장 진입에 애로가 많다고 지적돼 왔다.

또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최근 밸브 수요 증가에 따라 수급이 불안정해 우리 해양플랜트 제작 업체들이 공정준수에 애로를 겪고 있다.FPSO 1척에는 2000여종, 4500여개의 밸브가 사용되며 누적 가격은 약 500억원(150억~8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수주액은 2008년 41억달러에서 2012년 221억달러로 연간 40.1%씩 증가하고 있어 밸브 등 핵심 기자재의 안정적 수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