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업 일자리 창출, 제조업 2배"

이화순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 "연내 발전방안 마련"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건축설계는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크지만 발전이 더뎠다. 이렇다보니 국내 랜드마크 건물까지 해외 건축가가 설계하는 실정이다. 올해 안에는 설계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마련하겠다."

이화순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사진)의 진단과 포부다. 국토부 안에서 보기 드문 여성 국장인 그는 건축물의 시공보다는 설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시공기술력이 세계적 수준에 이른 만큼 소프트 경쟁력으로 볼 수 있는 설계분야를 육성해야 할 필요가 크다는 이유에서다.경기도 소속 공무원으로서 1년6개월여 국토부에서 교환근무 중인 이 정책관은 기술안전정책관을 거쳐 4개월 전 건축정책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기술안전과 기술기준 분야의 식견을 쌓은 후 건축설계 분야를 접한 이 정책관은 벌써 수십년 전부터 지적돼온 설계기술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 효과로 볼 때 제조업 대비 각각 1.9배, 1.4배 큰 것이 건축설계업"이라며 "게다가 국가와 도시의 품격을 보여주는 문화적 영향력이 높은 지식서비스산업"이라고 말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는 현재 OECD 27개국 중 20위권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기술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마련한 것이 산·학·연·관 태스크포스(TF)다. 건축설계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업계와 학계, 연구원, 정부가 함께 머리를 맞댄 것이다. 이 정책관은 총괄 팀장을 맡아 TF를 총괄하면서 발주제도와 대가기준 개선, 신진 인력 육성, 해외진출 지원 등 9개 팀으로 나눠 세부적인 대안을 마련키로 했다. 서승환 장관도 박근혜정부의 핵심목표 중 하나인 일자리창출 과제를 풀어나갈 방법으로 TF를 적극 지원하며 기대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이 정책관은 TF를 통해 나오는 대안이 형식적으로 그치지 않도록 하나하나 점검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

이 정책관은 "그 동안 설계 용역을 발주하면서도 설계에 대한 심사가 아니라 가격 위주로 심사하는 게 전체 물량의 20%가 넘는 등 제도적으로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문제점이 있었다"며 "설계산업이 정체되면서 우수 인력들이 설계보다 시공 쪽으로 발길을 돌리는 등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의 계획대로 성과가 현실에 반영돼 침체된 설계업에 힘을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