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군에서 기술 개발-제대 후 취업 지원 '한국형 탈피오트' 도입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미래창조과학부가 군 복무 중에 기술력을 끊김 없이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형 탈피오트'를 국방부와 협의해 도입하기로 했다.

군에서도 전공을 살려 기술을 개발하고, 제대 후에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취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미래부는 이같은 내용의 하반기 업무 추진계획을 24일 발표했다. 또한 소프트웨어(SW) 창업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사업화와 멘토링,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SW전문 창업기획사'를 9월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W 창업 기업에 성장 단계별(초기-성장-글로벌)단계별로 투자하는 SW 특화펀드도 4분기 중 조성한다.

이 밖에도 미래부는 교육부와 합동으로 초중등 단계와 대학단계를 망라하는 '창의적 인재육성계획'을 8월 수립하기로 했다. 또 창조적인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8월 '창조경제문화확산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11월 '창조경제 대상'을 개최한다. '1가구 1지식재산 갖기' 문화운동도 펼친다.

과학기술 혁신 정책으로는 대학·출연연의 '서랍 속 기술' 사업화, 과학기술을 매개로 지역의 대학·연구기관·지자체·기업을 연계하는 융합형 연구공동체 구축 등이 있다. 8월에는 향후 30년간의 우주개발 중장기계획과 우주기술 산업화 육성대책을 수립하고, 네덜란드 대학의 연구로 개선사업 국제입찰에도 참여할 계획이다.

ICT산업 육성 정책으로는 7월 초·중등 학생용 온라인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8월 'SW융합 클러스터'를 선정해 활성화하기로 했다. 9월에는 5년간의 ICT 연구개발(R&D) 추진방향 전략을 세우고 제5차 국가정보화기본계획을 마련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설기관으로 'SW정책연구소'를 개설하고, 유료방송 콘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해 SO와 PP간 방송수신료 수익 배분 비율 등의 기준을 개선할 방침이다. 8월에는 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 산업육성 계획도 수립한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