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메카 디트로이트 , 사상 최대 규모 파산 신청

[아시아경제 뉴욕=김근철 특파원]미국 자동차 산업의 메카로 불리던 디트로이트시가 18일(현지시간) 파산을 선언했다.

미국 언론들은 디트로시가 이날 오후 릭 스나이더 미시간 주지사의 승인을 얻어 연방 법원에 미국 지방자치단체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파산보호(챕터 9)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보도했다.릭 스나이더 주지사는 파산 신청서와 함께 제출한 편지에서 “디트로이트의 막대한 부채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면서 “재정 위기 비상관리인 케빈 오어변호사가 제안한 챕터 9 파산보호 신청을 승인한다”고 밝혔다.

스나이더 주지사는 지난 3월 185억 달러(약 20조8000억원)에 달하는 디트로이트 시의 장기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 크라이슬러 파산보호 절차를 맡았던 오어 변호사를 비상관리인으로 선임했다.

오어 변호사는 이날 디트로이트의 재정적자 규모가 3억 8000만달러를 기록했고, 장기 부채도 최대 20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밝혔다.한때 미국 최대의 공업도시로 명성이 높던 디트로이트 시는 자동차 산업의 쇠퇴와 함께 1950년대 180만명에 달하던 인구가 급격히 줄어 70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실업률도 미국의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무려 27.8%에 이르렀고 최근 자동차 산업 활성화로 인해 그나마 16.3%를 기록하고 있다. 미국의 평균 실업률이 7.6%대임을 감안하면 여전히 매우 높은 수치다.

이와함께 높은 범죄율 등으로 중산층과 자동차 산업 관련 회사와 공장들이 인근 지역으로 빠져 나가면서 디트로이트의 침체 악순환이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세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는데도 시 당국은 방만한 예산 집행을 이어오다가 결국 파산 신청까지 이르게 됐다.

오어 변호사는 예산 삭감, 자산 매각, 공무원 인력 구조조정 등을 추진하며 디트로이트 경제 회생을 시도했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디트로이트 시가 파산에 들어가면 채권단 은행들은 1 달러당 몇 센트만을 회수하는 등 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며 공무원들의 연금 지급도 대폭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대해 연기금 수령자들과 관련 단체들은 파산 신청과 이에따른 연금 축소에 반대하며 주 법원에 소장을 제출해놓은 상태다.



뉴욕=김근철 특파원 kckim10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