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마저'..줄잇는 사전 정보유출 논란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RB)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사전 유출되는 사고가 벌어졌다.

연준은 서둘러 발표 예정시간을 앞당겨 상황을 모면하려 했지만 외신들은 일제히 핵심 투자정보가 유출된데 따른 정보공개의 불균형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연준의 신뢰도에도 큰 오점을 남겼다는 평가다.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연준은 미국 동부시간 오후 2시 공개하기로 했던 지난달 FOMC 회의록을 오전에 서둘러 발표했다.

100여명에게 회의록을 이메일로 보낸 사실을 확인한데 따른 조치였다. 의회인사들에게 보내졌다는 최초 발표와 달리 이메일 수신자 명단에는 골드만 삭스, JP모건체이스, 시티그룹 등 투자은행 관계자들이 포함돼있었다.

관련된 은행들은 양적완화 조치 축소 및 종료검토 내용을 담은 의사록이 직원들에게 열람돼 매매에 활용됐다는 증거는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의구심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통신은 이같은 민감한 투자 정보의 유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지난해 8월에는 노동부가 발표하는 실업률이 당초 예정보다 15시간이나 먼저 공개되는 일이 있었다.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인 인텔은 지난 1월 실적공개에 앞서 실수로 기자들에게 이메일을 전송한 것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지난해 10월 구글은 실적이 예정보다 빨리 공개되는 탓에 거래가 정지되는 해프닝을 겪고 래리 페이지 최고경영자(CEO)가 사과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기자들에게 엠바고 형식으로 주요 지표가 사전에 공개되는 관행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뉴욕의 BNP파리바 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쥴리아 코로나도는 "연준이 문제 발생사실을 인지한 즉시 정보를 공개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누구도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를 사전에 입수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백종민 기자 cinq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