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블로그]경기도와 삼성

'경기도와 삼성.'

이들 둘 사이에는 내밀한 인연이 있다. 그 인연의 끈은 수원에서 시작된다. 수원은 예로부터 삼성의 '메카'였다. 이 곳에는 삼성전자ㆍ전기ㆍ전관 등 주요 계열사들이 모두 모여 있었다. 그래서 한때 '수원=삼성'으로 통했다. 이 구도는 더욱 확고해지면서 넓어지고 있다. 수원 인근 화성과 기흥에 삼성 반도체 등 대규모 삼성단지가 들어서면서 양측 간의 내밀한 관계는 이젠 경기도로 넓혀지는 형국이다.경기도 산하기관에도 전직 '삼성맨'들이 대거 중용되고 있다. 이달 초 부임한 김영석 경기도수원월드컵재단 사무총장은 제일기획 선임연구원 출신이다. 경기도 '싱크탱크' 경기개발연구원 정구현 이사장은 삼성경제연구소장을 지냈다. 홍순영 경기개발연구원장도 삼성 연구소 출신이다. 강호문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경경련) 회장 역시 삼성전자 부회장을 역임했다. 경경련은 출범 후 '회장=삼성' 공식이 생겨날 정도다. 허영호 경기도자원봉사센터 이사장과 한민호 경기도육상연맹회장도 모두 삼성 출신이다. 최근 부임한 김병철 경기도청 홍보담당관(4급상당)도 제일기획 국장 출신이다. '삼성맨'들이 경기도 경제단체와 연구기관을 '점령'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경기도와 삼성 간 관계에서 우려스런 일도 벌어지고 있다. 최근 대표적인 사례 두 가지가 있다.

지난 1월31일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불산사고가 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을 찾았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이번 '불산' 누출사고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며 강한 의지를 다졌다. 그러나 닷새 뒤 김 지사는 불산 누출사고 조사를 위해 추진 중인 도의회 '민관합동조사단'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찰, 환경부 등과 공조해 이미 조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합동조사단에 참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그 이유였다. 이에 대해 도의회는 경기도가 도민 안위에 대한 책무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며 강하게 성토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해 9월11일 김 지사가 평택 고덕면 사무소를 찾은 것도 눈길을 끌었다. 하루 24시간을 쪼개 쓰는 김 지사가 면사무소까지 찾은 데는 삼성이 10여일 전 평택산업단지에 100조 원을 투자하겠다는 협약을 경기도와 체결한 데 따른 후속 지원책을 논의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김 지사는 부지사, 실국장 등을 대동한 채 회의에 참석, 삼성 지원을 적극 주문했다. 그러나 이날 주인공인 삼성은 조연급 배우인 '부장' 한 명만 달랑 보냈다. 지역 언론들마저 삼성이 경기도를 너무 홀대하는 게 아니냐며 잇단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경기도는 이에 대해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경기도의 삼성에 대한 다소 일방적인 구애는 뿌리가 깊다. 김 지사가 민선4기 도지사에 당선된 뒤 2개월쯤 지난 2006년 8월 삼성전자의 차장이 경기도청에 투자유치 자문관으로 파견을 나왔다.

이 차장의 직급은 4급 상당. 당시 이 차장과 맞트레이된 도청 직원은 신 모 국장(3급)이었다. 삼성전자 차장이 도청 국장과 맞교환된 셈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경기도에서는 이 차장의 직급을 놓고 '갑론을박'이 거셌다.

삼성은 지금 누가 뭐래도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했다. 공직사회에서도 삼성 배우기 '열풍'은 거세다. 경기도가 분명 세계적 기업으로부터 얻고 배우는 게 분명 많겠지만 그럼에도 지금 경기도의 '삼성 바라기'는 다소 도가 지나치다는 생각이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