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도교육청 올해 '남북교류사업' 어찌할꼬?

[수원=이영규 기자]'남북교류협력사업 어찌할꼬?'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지난 12일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이후 심각한 딜레마에 빠졌다. 경기도는 올해 정전 60주년을 맞아 67억 원을 들여 남북 마라톤대회 등 그 어느 때보다 야심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역시 세계 50여 개국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큰그림 그리기대회'를 남북 공동으로 5월께 준비 중이다. 이들 두 사업은 도와 도교육청의 올해 최대 역점사업으로 그 만큼 기대도 크다. 하지만 핵실험으로 남북 간 경색국면이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커 행사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기도 '정전 60주년 남북교류' 무산되나?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경기도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도는 올해 DMZ(비무장지대) 설치 60주년 기념사업 등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사업비 67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지난해(60억 원)보다 7억 원(11.7%)이 늘어난 것이다. 도는 예전에 해오던 양묘장 조성, 황해북도 농업 현대화, 영유아 지원 사업에 올해는 결핵 등 의료지원 사업을 추가했다. 특히 DMZ 설치 60주년을 맞아 임진각 일대에서 열리는 마라톤대회를 개성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사업 대부분이 인도적 차원에서 진행되지만, 사업 승인권을 통일부가 갖고 있다 보니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는 점. 도는 현재 핵실험과 이후 남북경색 국면을 고려할 때 사업 추진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지난해 6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지만 실제 집행은 8%가 조금 넘는 5억 원(말라리아 공동방역비)에 그쳤다.

도 관계자는 "올해 정전 60주년을 맞아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려고 하는데, 핵 실험 복병이 나타나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앞으로 추이를 지켜보면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북 핵실험 직후 안보관련 회의를 가진 뒤 성명서를 통해 "이번 (북한의 핵실험)사태는 중대한 도발"이라며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전환을 강도 높게 주문해 향후 남북교류사업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교육청 "큰그림 그리기대회 어찌할꼬?"

도교육청이 올해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평화교육 큰그림 그리기대회'의 남북 공동 개최가 북한 핵실험으로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13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5월 24일부터 31일까지 파주 평화누리 공원에서 큰그림 그리기 대회를 개최한다. 이 대회는 세계 50여개국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이 참여한다. 특히 도교육청은 이번 대회 유치를 위해 지난해 일본에서 열린 회의에서 남북 공동개최를 제안했다.

이러다보니 행사 내용도 평화와 남북협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행사기간 판문점에 그림을 전시하고, 남북 학생들이 참여하는 DMZ 자전거 행진을 검토하고 있다. 세계 인류평화, 남북한 평화유지와 평화통일의 중요성을 알린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대회 자체가 축소 내지는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에 접어들고, 새 정부 출범초기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정서상 남북 공동 개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3월 비영리기구로 일본에 위치한 'Earth Identity Project'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올해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림 그리기 사업을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은 당시 "남북분단의 상징인 판문점에서 남북 어린이와 세계 어린이가 함께 모여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림'을 완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성원을 부탁한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영규 기자 fortun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