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감액추경안하면 경기도 신청사 설계 재추진"

【수원=이영규 기자】지난 4월 이후 중단된 광교신도시 내 경기도 신청사 설계 작업이 이르면 올 연말께 다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19일 수원 매산로3가 경기도청 제1회의실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희선 의원(새누리당ㆍ화성갑)으로 부터 '광교신도시 도청 이전 하는 것이냐, 안하는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연말까지 감액추경을 하지 않는다면 (중단된)설계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대답했다. 경기도는 78억 원의 예산을 세워 지난해 10월부터 광교 신청사 설계작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올해 4월 김 지사는 경기도의 재정난을 감안할 때 신청사 이전 작업을 계속하는 것은 무리라고 보고 설계작업 보류를 지시했다.

이에 따라 광교 청사이전 설계작업은 지난 4월 이후 6개월째 중단된 상태다. 당초 경기도는 내년 7월 말까지 설계작업을 마칠 계획이었다.

김 지사는 "현재 세수상황이 나빠 감액 추경을 1000억~2000억 원 해야 할 형편"이라며 "다만 최근들어 취득세가 늘면서 조금 개선될 가능성이 보이고 있어 연말까지 감액추경을 안한 다면 중단된 도청사 이전 설계작업을 다시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하지만 "연말에 가서 감액추경을 하게 되면 설계작업도 재추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못박았다.

그는 특히"부동산경기 침체로 세수의 60%를 차지하는 부동산 거래세가 너무 줄고 있다"며 "이처럼 부동산 거래세가 계속 줄 경우 청사 이전은 고사하고, 빚을 내서 경기도 살림을 꾸려가야 할 위기상황도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현재의 세수로 신청사 이전을 이야기하는 것은 염치가 없다"며 "주민들의 어려운 점을 이해하는 만큼, 최대한 대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고희선 의원은 "도청사 이전 관련 송사가 빚어지는 등 경기도와 광교신도시 입주민간 갈등이 악화일로로 치달아 보기가 안쓰럽다"며 "(청사 이전작업이)늦어진다면 나서서 주민들을 설득시키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경기도는 수원 광교신도시 행정부지 타운 5만9000㎡에 건축연면적 9만6587㎡ 규모로 토지보상비 1427억 원, 건물신축비 2365억 원 등 총 3792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16년 말이나 2017년 초 신청사를 완공할 계획이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