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3호 발사 성공..위성영상시장 '발판'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한국의 3번째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 3호가 18일 새벽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아리랑 3호는 1m 이하 해상도까지 관측할 수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브미터급 관측위성이다.

아리랑 3호는 18일 오전 1시 39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일본 인공위성 3기와 함께 2단형 상업로켓인 H2A에 실려 발사됐다. 아리랑 3호는 발사 약 16분 뒤 필리핀 남동부 해상 676.35km 상공에서 성공적으로 로켓과 분리됐다. 태양쪽으로 자세를 잡은 아리랑 3호는 약 5분여에 걸쳐 3개의 태양전지판을 차례로 펼쳤다. 오전 2시 18분에는 노르웨이 KSAT사가 운영하는 남극 트롤 기지와 첫 교신에 성공했다. 발사 후 약 1시간 30분이 지난 3시 7분에는 노르웨이 스발바르섬의 기지국과 두 번째 교신도 성공했다. 이후 3시 18분경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내 지상국과 첫 교신하면서 태양전지판이 정상적으로 전개되고 위성체의 전반적 상태가 양호한 것이 최종적으로 확인됐다.

아리랑 3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미국, 유럽,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4번째로 상용 서브미터급(1m이하 물체 식별)위성을 가진 국가가 됐다. 군용까지 포함하면 6번째다. 아리랑 3호의 해상도는 70cm다. 가로X세로 70cm인 지상 물체를 위성이 판별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 지난 2006년 발사된 해상도 1m급의 아리랑 2호보다 기능이 2배정도 향상됐다.

최해진 항우연 다목적실용위성3호(아리랑3호)사업단장은 "아리랑 3호는 지상 685km 상공에서 중형차와 소형차를 구분할 수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아리랑 3호로 초고해상도 위성영상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역시 크다. 세계 상업용 위성영상판매 시장에서는 0.41~0.87m 사이 해상도를 지닌 서브미터급 위성들이 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위성영상판매시장은 2018년에는 39억달러(약 4조5천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아리랑 3호는 매일 지구를 14바퀴 반 돈다. 오전과 오후에 한 번씩 한반도 위를 지난다. 아리랑 3호가 촬영한 영상은 공공안전, 재해재난, 국토ㆍ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도 활용된다. 항우연은 약 3개월간 시험 기간을 갖고 위성의 각종 동작들을 점검한 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일본의 발사체 기술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번 아리랑 3호 발사는 일본 측에서 처음으로 상업 발사한 해외 위성이다. 일본의 H2A로켓은 지금까지 95%의 발사 성공률을 보여왔다, 이번에도 4기의 위성을 무사히 궤도에 안착시키며 실력을 '과시'했다. 김상조 항우연 원장은 "일본 로켓 발사체 기술이 대단한 실력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한국형발사체 시험시설을 짓는 데만 4000억원 정도가 필요한데,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성공으로 가는 걸음을 내딛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전천후 레이더 장비를 갖춘 아리랑 5호를 하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 올해 10월에는 나로과학위성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나로호에 탑재돼 발사되며, 우주와 지구관측임무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위성 3호도 이르면 연말 무렵 발사된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