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열풍' 문화산업 국외수입 크게 늘어

지난해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수입은 7억9400만달러 사상최대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가 문화산업으로 국외에서 벌어들인 돈이 8억달러(약 8900억원)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열풍 덕이다.

6일 한국은행 국제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수입은 7억9400만달러로 전년보다 24.7% 늘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80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이는 우리나라가 영화ㆍ라디오ㆍTV프로그램ㆍ음악ㆍ교육ㆍ보건서비스 등으로 외국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수입은 1996년까지만 해도 한푼도 없었다. 1997년 500만달러를 시작으로 빠르게 늘어나 2000년에 1억3660만달러를 기록한 뒤 2008년에는 5억2750만달러로 5억달러를 넘어섰다.

국내 대중가요가 해외에서 'K-팝'으로 불리며 아시아를 비롯해 유럽이나 미국ㆍ남미 등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관련 수입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드라마나 영화도 수년 전부터 중국ㆍ일본ㆍ동남아 등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그러나 아직까지는 문화산업으로 들어온 돈보다 나간 돈이 더 많아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수지는 여전히 적자를 보고 있다. 지난해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 지급은 10억1780만달러였다. 자연히 개인ㆍ문화ㆍ오락서비스수지는 -2억2380만달러로 전년보다 적자 폭이 1억6110만달러 줄기는 했지만 지금까지 한번도 흑자를 내지 못했다.

지난해 지적재산권 등 사용료 수입도 43억2050만달러(약 4조83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 역시 수입보다 지급이 더 많아 수지는 29억8120만달러 적자였다.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민규 기자 yushi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민규 기자 yushi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