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전' 차세대 수출산업으로 육성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정부가 원자력발전 산업을 차세대 대표 수출산업으로 육성한다.

정부는 21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제1차 원자력진흥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4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을 심의, 확정했다.이번 제4차 계획에서는 지난 4월 실시한 원전 안전 점검의 50개 후속 조치사항을 충실히 이행하는 동시에 안전성 향상 연구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리도록 했다. 또 경주 중저준위방폐장을 적기에 완공하는 등 국민의 공감 속에 환경친화적 방사성폐기물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도 담았다.

정부는 특히 원자력을 조선과 정보기술(IT) 산업을 이을 대표 수출산업으로 육성키로 했다. 상용원전의 경우 안전성 향상을 통한 최고급 고유원전을 개발하는 한편 중소형원자로 및 연구로 시장 개척을 위한 새 원자로를 발명하고, 노후 원전의 운영·정비 및 해체 시장에도 원자력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난치암 정복 등 방사선 의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의료용 중입자 가속기를 2015년까지 구축하고 정상조직의 손상 등 기존 방사선 치료의 문제점을 해결할 '한계돌파형 방사선 치료기술' 개발에도 나선다.수출용 신형 연구로를 방사성 동위원소 전용으로 건설해 암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안정적 공급 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안전성 강화를 전제로 지속적인 원자력 이용 분야 다변화를 추진하도록 내년부터 2016년까지 6기 원전을 건설하고, 해외 광산 지분 인수를 통해 우라늄 자주개발률을 지난해 6.7%에서 2016년 25%로 대폭 확대키로 했다.

핵 비확산을 위한 국제 협력과 선진 기술 개발을 통해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개발도상국에 대한 원자력 기반 시설 및 제도 구축을 지원하기로 했다.

원자력 인력 양성을 위해 채용연계형 원전 인턴십 도입, 원전 마이스터고 신설, 원자력선진연구센터 지정 등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김 총리는 "우리나라 원자력 정책 기조는 안정적 전력수급,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현행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원자력의 활용과 더불어 안전성을 최우선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영주 기자 yjc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