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보다 상가" 경매 '불티'

경매시장, 상가 잘 나간다

"아파트보다 상가" 경매 '불티'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수도권 사업시설 경매 낙찰률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주거시설에서 상업시설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

9일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www.ggi.co.kr)에 따르면 수도권 상업시설의 경매 낙찰률은 27.8%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경매로 10개가 나오면 최고 3개는 낙찰된다는 뜻이다. 낙찰가율은 65.8%로 지난 9월 70%보다는 5%포인트 하락했으나 올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인천의 낙찰률이 45%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도는 27.6%를 기록했다.

10월 수도권 상가 낙찰률의 급상승은 공동담보에 의해 일괄 매각된 개별 상가들이 이끌었다. 이들 상가들은 하나의 건물 안에 있지만 각각 등기된 물건으로 건물주가 부채를 상환하지 못할 경우 개별 물건으로 경매시장에 나온다.

인천은 남구 주안동의 아이존쇼핑몰 내 상가 47개가 감정가의 40%에 한 자산운용사에 일괄 매각됐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시 일산 동구 중산동 조은프라자의 상가 32개와 풍동에 위치한 샘터 빌딩의 상가 38개가 모두 낙찰됐다. 수원과 화성, 안양, 시흥 등지에서도 비슷한 낙찰 사례가 발생했다.

개별 상가들이 상업시설의 낙찰률 상승을 이끌었다면 근린상가는 전체 상가 낙찰가율을 높였다. 특히 서울은 낙찰가율이 73.9%로 가장 높았다.

이중에서도 강남의 근린상가는 워낙 선호도가 높아 매매시장에서 거래가 잘 되기 때문에 경매에 자주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나올 경우 높은 가격에 낙찰되고 있다.

지난 10월4일 중앙 9계에서는 감정가 120억원에 이르는 지하3층, 지상 7층 규모의 서울철강빌딩이 감정가의 101%인 121억 원에 낙찰됐다. 이날 법정에는 15명이 입찰에 참여했다. 같은 경쟁률을 기록한 감정가 36억원의 강동구 둔촌동 소재 4층 근린상가도 감정가의 79%인 28억원에 팔려나갔다.

근린상가는 개별 상가들이 구분 등기돼 있지 않아 수익률이 좋다. 이에 자산가들이 선호하지만 지역에 따라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리는 특성이 있다.

남승표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부동산 경매 시장에서 상가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은 대안 투자 상품을 찾기 때문"이라며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79.2%로 7월 이후 4개월 연속 80% 아래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이어 "상업시설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익률"이라며 "주택처럼 시세 차익을 노리고 접근하는 방식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근린상가와 같이 고가의 투자 물건은 주변에 있는 유사 상가들에 대한 임대수요를 감안한 공실률과 철저한 상권분석이 필요하다. 경매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자산운용사나 리츠사와 같은 전문회사를 통한 간접 투자가 오히려 바람직할 수 있다는 뜻이다.



황준호 기자 rephwa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