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쿠폰’..양도 서비스도 반토막

가격에 맞추느라 ‘소셜커머스용’ 따로 제작 판매..소비자 불만 급증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직장인 홍모씨는 최근 한 소셜커머스에서 단골 레스토랑의 반값쿠폰을 사서 쿠폰 사용이라고 밝힌 뒤, 메뉴를 주문했다. 정가 대비 40%가량 할인된 가격에 먹을 수 있다는 생각에 들뜬 것도 잠시, 그는 주문한 음식들을 보고 크게 실망했다. 평소 시켜먹던 것보다 양이 눈에 띄게 적었기 때문이다. 홍씨는 "예전에 먹었던 맛과 양을 생각하면서 쿠폰을 구매한 건데 딱 쿠폰 금액에 맞는 수준의 메뉴가 나왔다"며 "이럴거면 반값쿠폰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고 꼬집었다.최근 '반값쿠폰'을 내세운 소셜커머스의 인기가 날로 치솟고 있는 동시에 고객 불만이 급증하고 있다. 민원 중 대부분은 소셜커머스 쿠폰 사용 시 정상 제품보다 양이 적거나 제품 상태가 불량하다는 내용. 이에 대해 일부 업체에서는 소셜커머스용 상품을 따로 기획해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혀 소비자들로부터 반발을 사고 있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셜커머스에 나온 일부 제품이 '소셜커머스용'으로 따로 제작돼 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쿠폰으로 외식 메뉴를 살 때, 중량이 유난히 적거나 메뉴 구성이 달라졌다고 느껴진 데에는 이러한 이유가 있었던 것. 업계에서는 백화점용 상품과 아웃렛용 기획 상품이 따로 있듯이 소셜커머스에서 파는 상품들도 일부분 다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구한 외식업계 한 관계자는 "제품 이익률을 따지면 정상가로 판매하는 제품과 100% 똑같은 것을 판매할 수 없다"며 "소셜커머스를 통해 판매하는 제품은 생지(밀가루 반죽)의 중량을 적게 써도 소비자들이 이를 잘 알아내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또 "아메리카노의 경우, 원 샷이 들어가는지 투 샷이 들어가는지 사실 뜨거울 때에는 구분이 잘 안 된다"며 "모든 업체가 해당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종종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언급했다.

외식 뿐만이 아니다. 최근 소셜커머스에 피부관리 할인쿠폰을 판매한 A 피부관리업체 원장은 "솔직히 3~4만원짜리 쿠폰을 사서 온 고객들에게는 기존 회원들이 받던 8~10만원짜리 서비스와 똑같이 해주지 않는다"며 "이들에게 쓰는 화장품이 다르고 팩 종류 자체가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쿠폰 사용자들에게 기존 서비스를 똑같이 해주면 남는 게 없다"고 덧붙였다. 이 업체에서는 3일 만에 500명 이상이 쿠폰을 구매했다.

업계의 공공연한 '이중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최근 한 피자업체에서 진행한 반값쿠폰을 구매한 부천의 한 고객은 "매장에서 먹었을 때는 맛있어서 소셜커머스로 샀는데 샐러드 온 것을 보고 너무 실망해서 사진찍고 항의하고 싶었을 정도였다"며 "반값쿠폰의 의미가 점점 퇴색되는 것 같다. 그냥 제 돈 주고 먹는 게 낫겠다"고 불평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 소셜커머스 불만 접수건 중 70%이상이 식음료 구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인터넷에 올라온 사진과 실제 구매한 제품이 다르다는 점, 쿠폰 사용시 불친절하고 추가 구매를 유도한다는 점 등이 가장 불만이라고 답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