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i40 관련 일문일답

[부산=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Q:유럽과 국내에서 판매하는 i40 외관이 다른 것 같다. 내수차에서 바뀐 부분은? 디젤 판매 비중을 얼마나 보고 있나.
A: 그릴이 다르다. 유럽 모델은 헥사고날 그릴을 장착했는데, 내수차에는 여기에다 크롬바가 추가됐다. 리어 범퍼가 유럽은 튀어오지 않은 반면, 국내 판매용은 튀어나왔다. 전장이 유럽 판매차가 45mm 짧다.
핸들링과 승차감에도 신경을 썼는데, 한국은 승차감, 유럽은 핸들링 위주로 튜닝했다.
디젤엔진이 유럽에서 활성화돼 있다. 연비도 좋은데, 판매 비중에서 35%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 본다. 연간 10만대 판매 목표 가운데, 내수 2만대 제외한 나머지를 유럽에서 판매할 방침이다.

Q:유럽에서 인기를 얻으면 유럽에서 생산할 계획이 있는가. 미국 진출 계획과 세단형 투입 계획도 알려달라.
A: 미국에서는 쏘나타만 팔고 i40는 계획이 없다. 또 유럽에서 YF쏘나타 판매 계획도 없다. i40의 유럽 생산계획도 없다. 세단형은 출시할 예정이다. 유럽형이기 때문에 왜건형을 먼저 출시했다. 세단은 준비되는대로 국내에 선보일 예정이다.Q:i40 가격 수준에 대해 사내에서는 어떻게 평가하나.
A: 프리미엄급으로 포진했다. 다양한 사양을 많이 넣었다. 가치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Q:사전계약 규모는?
A: 내년 내수 2만대를 목표로 한다. RV에서 돌아오는 고객의 구매가 많을 것으로 본다. 계약받은지 이틀됐는데 500대 정도 계약된 것으로 알고 있다.

Q:한-EU FTA 발효 이후 현대차가 유럽에서 볼 수 있는 수혜는 어느 정도로 보나?
A: 공략하기 힘든 시장이 유럽이다. 유럽사람이 만드는 차가 현대차 강점인 중소형차다. 이들은 애국심도 강하다. 유럽시장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전혀 떨어지지 않는 성능의 차 개발이 필요했다. 이 차는 마음먹고 유럽시장에서 살기 위해 아낌없이 개발한 차다. 성공하면 현대차가 톱 클래스가 될 것이다. 미국과 유럽 시장이 다르지만 성과 분석하고 유럽에 적용해 5% 이상 시장점유율 위해 노력하겠다.Q:하반기 상황이 녹록치 않은데, 하반기와 내년 전략은?
A: 올 상반기 마감 때까지 하반기 크게 걱정 안했다. 8월 초 금융 문제로 우리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고 생각하고 일일점검 비상체제 들어갔다. 전세계 판매상황을 하루단위로 체크하고 있다. 미국지역에서 올해 전체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유럽은 올 초 2%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준비했다. 하지만 남유럽 국가 상황이 안좋아 더 떨어질 수도 있다.
현대차는 유럽형 i40, 벨로스터 등 신차, 연비 및 디자인 경쟁력 갖춘 차를 출시해 대응하고 있다.
비관적인 것 만은 아니다. 미국시장은 올해 줄어들어도 10% 성장이 가능하며 내년에도 성장세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판매대수는 1300만대를 밑돌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1400만대 시장이 될 전망이다. 유럽은 2~3% 감소될 것으로 보이는데, 내년에도 1350만대는 판매될 것으로 본다.
중국과 인도시장 성장세가 꺾였어도 마이너스는 아니다.



부산=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