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우리銀·대우해양조선 이어 인천공항 국민주 매각 추진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우리은행과 대우해양조선의 국민주 매각 방침을 밝혔던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1일 인천공항공사 역시 국민주 방식의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홍 대표는 이날 여의도 한 식당에서 가진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인천공항공사의 민영화 방식과 관련, "포항제철과 같이 국민주 공모 방식의 매각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홍 대표는 지난달 13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오찬회동에서 "우리은행과 대우조선해양은 공적자금이 투입된 기업인데 대기업에 매각하는 것은 곤란하다" "(우리은행과 대우조선해양 매각은) 포스코처럼 국민공모주 형태로 하여 서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홍 대표는 이러한 입장을 임태희 대통령실장에게 전달했는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며 "정부가 국민주 매각으로 급선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인천공항공사의 국민주 매각 방침은 한나라당 당론으로 추진할 사안은 아니며 대표 개인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가 인천공항공사의 국민주 방식의 매각을 강조한 것은 서민정책이라는 점에서 특혜시비에서 벗어날 수 있고 국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홍 대표는 지난달 20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우리금융지주와 대우조선해양 매각 방식과 관련, "국민경제를 생각하면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공적자금을 투입해 살린 기업의 정부 지분을 특정대기업에 매각하는 것보다 다수의 국민에게 돌려주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지주는 사모펀드에게 매각하면 특정 주주의 배만 불리는 '제 2의 론스타 사태'를 불러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최근 당의 친서민 기조를 강조한 듯 " 1988년 포스코 주식을 국민에게 매각할 때 청약주식의 할인율이 63.5%, 1989년 한국전력의 경우 할인율이 43.5%로 국민공모주 방식으로 매각해 서민들에게 좋은 재산증식의 기회를 줬다고 생각한다"며 "지난 청와대 회동 때 국민공모주 방식으로 국민에게 돌려줄 것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고 공개했다.

한편, 홍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저축은행 불법자금이 전당대회에 유입됐다는 의혹과 관련, "분명히 말하지만 내가 저축은행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정계은퇴한다"며 "허위폭로에 대해 가만두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성곤 기자 skzer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