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들 "고정금리대출 촉진 위해 커버드본드 제도 개선해야"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고정금리 대출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커버드본드(Covered Bond)등 장기채권 발행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22일 오전 소공동 한국은행 소회의실에서 김중수 한은 총재 주재로 개최된 금융협의회에서 일부 시중은행장들은 "고정금리부 대출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은행이 그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 주택저당증권(MBS) 및 커버드본드(Covered Bond) 등 장기채권 발행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커버드본드는 금융기관의 주택담보대출 채권, 공공대출 채권등 우량자산을 담보로 발행되는 담보부채권으로 국내 금융기관의 주요 장기 자금조달원으로 꼽힌다.

이번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과 관련, 은행장들은 "변동금리부 대출의 고정금리부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부 대출의 금리가 상당폭 낮은 데다 대출의 중도상환 및 재차입이 용이하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또 시중은행장들은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되겠지만, 그 과정에서 저소득가계의 은행대출 이용기회는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는 데 인식을 함께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향후 서민금융 확충 등의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 총재는 "오랜 기간에 걸쳐 누적되어온 가계부채 문제를 단기간 내에 해결하기는 어렵다"며 "정책당국과 민간부문이 협조하면서 꾸준하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민병덕 국민은행장, 김정태 하나은행장, 리처드 힐 SC제일은행장,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 김용환 수출입 은행장, 김태형 농협 신용대표 이사, 이주형 수협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