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타이어, 대기업 진입 놓고 신경전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1000억원 남짓한 규모의 국내 재생타이어 시장에 대기업이 참여하는 게 적절한지를 두고 업계 내 공방이 뜨겁다. 이미 몇년 전 같은 문제로 갈등을 빚으며 시장에서 한발 물러난 대형업체들은 '이번엔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며, 중소규모 업체들도 '대기업이 오히려 시장질서를 흐린다'며 강경한 태도를 굽히지 않는다.

재생타이어란 폐타이어를 다시 가공해 쓸 수 있게 만든 제품을 말한다. 자원재활용 성격이 강해 정부 차원에서도 사용이 권장되고 있지만 국내 소비자 사이에선 신제품 선호도가 높아 덤프트럭·레미콘 등 대형차종 위주로 4가지 제품정도만 생산되고 있다.애초 중소기업 고유업종으로 분류돼 중소업체 30여곳이 사업을 영위했으나 2006년 제도 폐지 후 한국타이어와 금호타이어가 나란히 진출했다. 이후 대기업들은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이른 시일 안에 끌어올렸다. 견디다 못한 중소업체들은 2008년 중소기업청에 사업조정을 신청, 대기업들이 연간 4만5000개만 다루도록 합의를 봤다. 업계에서는 국내 전체 생산량을 60만개 정도로 보고 있다.

최근 양측이 다시 마찰을 빚게 된 건 동반성장위원회가 재생타이어를 중기 적합업종 대상으로 올릴지 검토하면서부터다. 불특정 다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이 아닌데다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에 중소업체들은 큰 무리 없이 적합업종으로 선정될 것으로 예상했었다.

반면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대기업 목소리를 빌려 재생타이어를 적합업종으로 선정하는 게 불합리하다고 강조했다. 사업조정을 한 상태에서 적합업종까지 하는 건 이중규제라는 게 전경련 주장이다.중소업체들은 대기업이 재생타이어를 다루는 목적 자체가 문제 있다고 지적했다. 수익을 내기 위한 게 아니라 신제품 판매 시 재생타이어를 끼워 팔아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여기고 있다는 말이다. 대한타이어공업협동조합 송정열 전무는 "수조원대 매출을 올리는 대형 타이어업체들이 1000억원 남짓한 시장에 남아 시장질서를 흐리고 있다"고 말했다.

전경련이 주장하는 위탁가공(OEM) 부분도 사실과 다르다는 게 중소업체 주장이다. 현재 대기업이 전 물량을 OEM으로 만들고 있다는 건 그만큼 재생타이어가 높은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는 방증이라는 게 중소업계 주장이다. 대형 타이어업체들은 재생타이어를 직접 해야 하는 이유로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왔다.



최대열 기자 dy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최대열 기자 dychoi@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