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13%, 소득 줄어 이자도 못 갚았다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가계소득 감소 등으로 부채에 대한 이자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가구가 전체의 1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통계청과 함께 실시한 '2010 가계금융조사(부가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 13.0%는 최근 6개월간 부채에 대한 이자지급을 연체한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지급 연체 이유로는 '소득감소'가 47.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예상치 못한 지출 발생'과 '자금융통 차질'이 각각 24.5%와 15.2%로 나타났다.

또 최근 6개월간 부채 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사례가 있는 가구도 전체가구의 10.3%로 나타났다.

저축을 통해 상환자금을 마련하는 데 실패했거나(43.%), 부동산 처분이 안돼 자금조달에 차질(17.6%)을 빚은 게 주된 이유였다. 금융기관이 만기연장을 해 주지 않아 상환에 실패했다는 응답자도 8.3%를 차지했다. 정부 정책이 부동산 시장 활성화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의견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8월에 한시적으로 취해진 총부채상환비율(DTI)규제완화 조치에 대해 '(주택거래 활성화에) 영향이 없다'고 대답한 가구가 32.5%를 차지한 반면, '도움이 된다'고 답한 가구는 9.7%에 불과했다. '주택구입자금 조달과 거래 활성화에 모두 도움이 됐다'고 답한 가구는 19.3%였다.

부동산 가격에 대해서는 현재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면서도, 앞으로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가구가 많았다.

한은에 따르면 현재 부동산 가격수준에 대해서 '높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61.4%(매우 높다 19.2%, 높다 42.2%)로, '낮다'고 생각하는 가구(14.7%)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부동산가격 전망에 있어서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구가 42.5%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구(21.7%)의 두 배 정도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정부 측에는 '부동산가격과 물가 안정'을 정책 최우선 과제로 할 것을 요구했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정책 추진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물가 및 부동산가격 안정'을 꼽은 비중이 각각 48.2%, 69.6%에 달했고, 경제성장에 비중을 둬야 한다고 답한 가계 비중은 각각 20.9%, 18.5%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