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가전·TV 효자' 3분기만에 흑자전환(종합)

[아시아경제 김진우 기자] LG전자 가 TV와 가전 사업의 실적 호조로 3분기 만에 흑자전환했다. 휴대폰 사업은 영업손실률을 큰 폭 줄여 향후 실적 전망치를 밝게 했다.

LG전자(대표 구본준)는 27일 1분기 실적발표에서 연결 매출 13조1599억원에 영업이익 130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및 전년동기 대비 각각 10.5%, 0.4% 감소했다. 영업익은 작년 3분기(▽1852억원)와 4분기(▽2457억원)까지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으나, 3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LG전자는 2분기 필름패턴 편광안경식(FPR) 3D TV가 본격 판매되고, 휴대폰사업이 옵티머스 시리즈 등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만연한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1분기보다 영업익 폭을 넓힐 것으로 내다봤다.

◆HE(Home Entertainment)사업본부
HE사업본부는 1분기 매출액 5조2796억원에 영업익 821억원을 기록했다.

경쟁 심화에 따른 판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5% 줄었으나, 평판 TV 판매량은 1분기 사상 최대인 680만대를 돌파했다. LCD TV는 신흥시장 중심으로 수요가 늘었고, PDP TV는 북미 및 아시아 시장 중심으로 판매량이 증가했다. 특히 계절적 비수기와 판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FPR방식 시네마 3D TV 초기판매 호조 및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전분기 1.0% 적자에서 이번 분기 1.6% 영업이익률을 실현했다.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
MC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9091억원에 영업적자 1005억원을 기록했다. 휴대폰 사업만 보면 매출액 2조8517억원에 영업적자 1011억원이다.

1분기 스마트폰 중심으로 매출구조 개선 작업에 들어간 MC사업본부는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2450만대를 판매했다. 옵티머스 2X는 북미, 유럽, 한국 등 선진시장에서 판매호조를 보이고 있고, 옵티머스 원(One), 옵티머스 미(Me) 등도 꾸준히 판매량을 늘렸다.

스마트폰 등 흑자모델 위주의 라인업 구축과 비용 효율화에 힘입어 영업적자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영업이익률은 전 분기 마이너스 7.7%에서 이번 분기 마이너스 3.5%로 적자가 대폭 축소됐다.

◆HA(Home Appliance)사업본부
HA사업본부는 매출액 2조6988억원에 영업익 1027억원을 기록했다.

북미 및 신흥시장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3% 신장했다. 특히, 한국시장에서는 850리터 최대 용량 냉장고, 신개념 의류관리기 트롬 스타일러 등 프리미엄 제품을 본격 출시해 전년 동기 대비 21%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원자재가 인상, 경쟁 심화에 따른 판가 하락 및 마케팅 비용 증가 영향으로 3.8%를 기록했다.

◆AE(Air-Conditioning & Energy Solution)사업본부
AE사업본부는 매출액 1조4519억원에 영업익 391억원을 기록했다.

에어컨 사업은 한국, 북미, 중남미 및 CIS시장에서 판매가 늘어나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24% 늘어났다. 한국에서는 4D 입체냉방 에어컨 등 기능 우위 제품으로 시장을 선점했고, 해외에서는 Multi V, 인버터 등 전략제품 매출이 본격화했다.

원자재가 인상, 태양전지 및 LED조명 등 미래사업 투자비용은 증가했으나 매출 증대 및 원가절감 활동을 통해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2분기 사업전망
LG전자는 "2분기부터는 3D 및 스마트TV시장 규모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고, 신흥시장 중심으로 평판TV 보급이 확대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FPR방식 3D 시네마 TV를 해외 각 지역에 본격 출시하고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통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휴대폰은 옵티머스 2X 출시지역 확대, 옵티머스 블랙/빅/3D 등 전략제품 출시를 통해 스마트폰 비중을 늘리며 매출 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 원가 및 비용절감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익성을 개선한다는 전략이다.

가전 시장은 수요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 가전, 대용량 냉장고, 스타일러 등 고효율, 대용량 중심의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 출시해 매출 증대 및 영업이익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 따른 에어컨 수요증가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Multi V, 인버터 등 전략제품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시스템에어컨 등 B2B 인프라 및 미래사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 추진한다는 목표다.



김진우 기자 bongo7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