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위 불법주차 안된다!

서초구, 제도개선 통해 걷기 좋은 쾌적한 길 조성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보도를 걷다보면 이리저리 뒤엉켜 주차된 승용차로 생각 없이 걷다가 부딪히는 등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또 보도 위 차량의 주차로 보도블록이 깨지고 울퉁불퉁해져 수리, 보수로 예산이 낭비되기도 했다. 이에 서초구(구청장 진익철)가 주민들의 보행권을 보장하고 공공 공간을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한 방안으로 건축허가와 차량진출입로 허가 시 볼라드 설치를 허가 조건으로 하는 방안을 전국 최초로 마련했다.

건축후퇴선 부분은 공공 공간으로 쓰이도록 규정된 곳이며 거리미관과 개방감 확보 등을 위해 도로경계로부터 3m 뒤로 물러난 곳에 건물을 들이도록 했다.

또 보도경계에서 건물까지의 공간은 시민들이 자유롭게 걸어 다닐 수 있는 보행통로로 규정된 곳이다.
서초구에서 앞으로 보도위 불법 주차가 사라지게 될 것같다.

서초구에서 앞으로 보도위 불법 주차가 사라지게 될 것같다.

원본보기 아이콘

건축선 후퇴부분은 엄연히 보행자의 편의확보를 위해 보장된 공간임에도 일부 개인의 편의만을 생각하는 사람들 때문에 보행자와 장애인용 차량 등 통행에 불편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구는 건축후퇴선 부분에 불법으로 차량을 주차하지 못하도록 해 보행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걸어다닐 수 있도록 건축후퇴선 내에 볼라드를 설치하지 않으면 건축허가를 내주지 않기로 했다.

허가조건으로 건축후퇴선내 설치되는 볼라드는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제품을 사용토록하고 구에서 관리하는 2250개의 볼라드에 대해서도 점차적으로 서울우수공공디자인 제품으로 교체, 도시미관을 개선할 예정이다.

볼라드 설치 시 볼라드가 보행자 관점에서는 일종의 장애물로 간주될 수가 있으므로 보행자 신체상 안전을 고려, 높이는 80~100㎝, 자동차 진입을 억제한다.

또 휠체어 사용자를 감안, 간격은 1.5m 정도로 하며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해 내구성 과 안정성도 감안하고 서울대표색인 기와진회색으로 색깔을 선정,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도록 했다.

볼라드 설치방법 개선안 시행으로 자연스럽게 보도상 불법주차는 없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공공 공간이 본래 취지대로 시민들을 위한 안전한 공간으로 돌아가면서 도시환경도 쾌적해지고 도시경쟁력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구는 시민들에게 쾌적한 보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간선도로변 건축선 후퇴부분 일제정비사업’을 통해 건축선 후퇴부분 영업시설이나 불법 간판 설치 등을 정비했다.



박종일 기자 drea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