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 "리비아 사태, 경기냐 물가냐 딜레마 가중시킬 것"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23일 "유럽의 재정위기와 세계적인 물가인상 조짐 등 기존 위험 요인에 중동 사태와 일본 대지진이 겹쳐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커지고 있다"고 했다. 센터는 특히 "리비아 사태 악화는 경기회복과 물가안정 사이에서 고민 중인 세계 경제에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예상했다.

센터는 이날 오전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 이런 내용의 '일본 대지진·중동 사태 이후 국제금융 및 원자재 시장 동향' 보고서를 제출하고 "원자로 냉각 작업이 다소 진전을 보이고 있지만, 일본 원전의 완전한 사태수습 여부는 아직 유동적"이라고 했다. 센터는 이어 "서방이 군사 개입에 나섰지만 리비아 사태도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사진=연합)

(사진=연합)

원본보기 아이콘


센터는 그러면서도 "엔화 강세·주가 급락·CDS 프리미엄(국가부도위험도) 급등을 보이고 있는 일본 시장을 제외하면 국제금융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11일 이후 22일까지 6.3% 급락했지만, 한국과 미국의 주가지수는 각각 1.6%, 0.4% 올랐다. 중국과 영국 주가지수의 하락폭도 1.3%, 1.0% 수준에 그쳤다.

센터는 다만 "불안감이 여전해 향후 세계 주가의 조정 국면 지속될 것"이라며 "국제 원자재 가격도 수급 불균형과 중동 사태로 당분간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센터는 "중동의 정국 불안으로 원유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일본의 원전 발전 대체수요가 늘어나면 당분간 유가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센터는 아울러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 여파로 세계 최대 곡물 수입국인 일본의 농산물 수입이 늘어나면 농산물 가격이 더 뛸 것"으로 예측했다. 기초금속은 예외다. 단기간 값이 올라도 중국이 긴축에 나서 상승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센터는 한편 "한국은 일본에 대한 수출 비중이 낮고(6%), 관광산업 비중도 낮아(1%) 대지진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센터는 나아가 "일본의 생산 차질로 자동차 등 경쟁 분야에서는 한국과 대만 등이 반사효과를 볼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센터는 하지만 "일본의 통화 완화에 따른 엔화 약세가 이어진다면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떨어지고, 주요 부품 수입에 차질을 빚거나 수산물 부족에 따라 물가가 오르는 등 부정적인 영향도 일부 나타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