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값 싸진다

KAIST 양민양 교수팀, 대기 중에서도 만들 수 있는 방법 찾아…국내 및 국제특허 획득

양민양 교수.

양민양 교수.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차세대디스플레이로 각광받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값이 크게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KAIST(총장 서남표) 기계공학과 양민양 교수팀이 대기 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 개발에 성공했다.연구팀은 음극이나 양극과 같은 금속의 전극을 뺀 기능성 층(정공주입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모두 액상물질로 만들 수 있게 했다.

이 액상물질은 인쇄기술과 같은 용액공정을 적용할 수 있어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게 됐다.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엔 알칼리·알칼리토금속이 들어있는 물질들이 전자주입층으로 이뤄져 있다. 이 전자주입물질들이 음극과 발광층 사이에서 전자가 극복해야할 전자주입장벽을 낮춰 발광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KAIST 양민양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과정을 실험으로 보여주고 있다.

KAIST 양민양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조과정을 실험으로 보여주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나 이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불안정하고 1nm(나노미터)쯤의 초박막을 진공에서 막을 입혀야 하므로 얇은 층을 만들긴 어렵다.양 교수팀은 5nm 크기를 갖는 산화아연 나노입자용액과 암모늄이온용액을 통해 용액공정 적용을 할 수 있는 전자수송 주입 복합구조를 내놨다.

이들 용액은 알칼리와 알칼리토금속이 들어 있지 않아 대기 중에서 안정해 모든 층을 용액공정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KAIST 양민양 교수와 윤홍석 박사과정 학생이 이끈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Applied Physics Letters)’지 12월14일자 온라인 판에 올라갔고 국내 및 국제특허출원을 마쳤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