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친박, 개헌 놓고 '정면 충돌'(상보)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가 5일 개헌 문제를 놓고 공식석상에서 정면 충돌했다. 그동안 당내 친이계의 '개헌론 불 지피기'가 계속되면서 수면 아래서 불만을 삭혀왔던 친박계가 폭발한 양상이다.

친박계는 안상수 대표와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의 신년 회동에서 개헌 문제가 화두가 된 것을 지적하며 장시간에 걸쳐 "개헌 반대" 입장을 피력했고, 이에 친이계 중진들은 일제히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구제역 사태가 진정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이달 중순에서 말 사이 의원총회를 개최해 개헌논의 착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논의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날 논쟁의 발단은 친박계 이경재 의원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친이계의 개헌 주장을 반박하는 작심 발언을 10여분간에 걸쳐 쏟아냈다.

그는 "안상수 대표가 이회창 총재(선진당 대표)를 만나 개헌을 논의한 것이 보도됐다"면서 "공식적으로 당과 당이 만나 논의한 것으로 봐선 본격적인 개헌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문을 열었다.이어 "개헌 문제를 당내에서 공식적으로 제기하지 않고 당 밖에서 이야기한 것은 논의 순서가 잘못된 것"이라며 "개헌의 당위성에는 동의하지만, 개헌논의는 국민의 공감대가 절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사를 거론한 뒤, "이 대통령은 개헌의 '개'짜도 안 거냈다"며 "이 대통령이 속 마음은 개헌이 있지만 오해를 사고 싶지 않아 '당 지도가 알아서 하라'는 것인지, 올해가 선거가 없는 해인 만큼 열심히 일 해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기원하는 해로 삼자는 뜻으로 개헌과 같은 국론분열의 정치쟁점을 피하자는 것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당내 친이계가 주장하는 이원집정부제에 대해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고친다는 논리인데 현재 이명박 대통령이 제왕적 대통령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해가 생긴 것인지 묻고싶다"고 반문했다.

그는 "(이원집정부제를 주장하는)본인들이 제왕적 대통령을 도와줬다는 것인지 앞뒤가 안맞는 논리"라면서 "그렇게 만들었다면 책임을 져야하고, 일반론이라면 논리적인 모순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개헌논의가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있는 만큼 개헌 논의는 이제 접어야한다"면서 "개헌론을 꺼내는 것은 차기 대권구도에서 최소한의 입지를 유지하려는 일부 정치인의 바람이라는 이야기가 많다"고 덧붙였다.

이에 친이계인 정의화 국회부의장은 '국민의 정치 불만족'이 압도적으로 많은 연말 여론조사를 거론하며 "폭력으로 얼룩진 국회의 책임"이라며 "국회를 상생의 정치로 바꾸는 해결책의 하나로 대통령의 힘이 과도하게 집중된 권력구조 개편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부의장은 "국민과 함께 권력구조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고 시작해야 한다"면서 "진정으로 미래를 생각한다면 4~5년 전처럼 '정치적 오해를 불러올 수 있는 만큼 뒤로 미루자'는 우를 범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안상수 대표도 "개헌은 17대 국회에서 이미 '18대 국회에서 논의하자'고 국민에게 약속한 것"이라며 "개헌 논의는 국민에 대한 약속을 지키자는 것으로 권력구조에 대한 정해진 것이 없다"고 논의를 촉구했다. 안 대표는 "논의 자체에 대해 다른 눈으로 쳐다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윤성 전 국회부의장은 이경재 의원이 이 대통령의 신년사를 거론한 것에 대해 "어떤 분의 말씀에 따르면 이명박 대통령의 신년사에 '무엇인가 감춰두고 있다'고 말씀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전 부의장은 "지금 우리당에서 개헌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국민의 동의를 얻는 시동에 불과하고, 구체화된 것이 없다"면서 "시동을 거는 단계로 이해해야지 첫 회의부터 너무 심각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자제를 당부했다.

그러나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도 개헌 문제를 둘러싼 갑론을박은 계속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대통령제는 실패한 제도"라며 "5명의 전임 대통령의 말년이 불행했고, 당에서 축출까지 당했다. 현행 대통령제가 실패한 것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고 개헌의 필요성을 거듭 제기했다.

김 원내대표는 또 "개헌 논의는 어느 축에서 유불리를 생각하게 되면 이전투구가 된다"며 "저는 4년 대통령 중임제로 부통령에 권한을 더 주는 개헌을 생각하고 있다. (개헌론자들이) 이원집정부제를 주장하고 있다는 것은 오해"라고 이경재 의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에 정두언 최고위원도 "개헌 논의는 당내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의총 개최를 촉구했다.

그러나 친박계 서병수 최고위원은 "개헌논의를 시작하면 모든 것을 덮을 수 있다"며 "개헌 논의를 시작할지부터 생각해야 한다"고 본격적인 개헌 논의에 선을 그었다. 서 최고위원은 또 "정치권 일부 인사가 개헌논의를 촉발시키고 있다는 국민적 시각도 있다"고 친이계의 개헌론 배후설에 대해 꼬집기도 했다.

중립성향의 나경원 최고위원은 "이번에 개헌 의총에서 개헌을 논의할지 여부부터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면서 "시기가 적절한지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