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바이러스 538종 한번에 진단..'세계 최초'

농진청, 올리고 칩을 이용한 식물바이러스 진단시스템 개발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등 500종이 넘는 식물바이러스를 한번에 검사할 수 있는 진단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농림수산식품부 소속기관인 농촌진흥청(청장 민승규)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식물바이러스 538종을 동시에 진단하고 신종 바이러스까지 탐색할 수 있는 '식물바이러스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진단기술은 538종의 바이러스 유전자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진단용 프로브(탐침, probe)를 개발해 이를 손톱정도 크기의 판에 부착해 만든 것이다.

바이러스 진단용 '올리고 칩'은 특성이 다른 약 4000개의 프로브들로 구성돼 있으며 분석시료로부터 추출한 표지핵산을 칩과 반응시킨 후 해당 프로브들의 형광반응으로 식물바이러스를 진단하게 된다.이수헌 농진청 작물보호과 박사는 "이 올리고 칩은 유전정보를 알고 있는 모든 식물바이러스로 진단대상을 확대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염기서열이 알려진 538종을 한번에 진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신종 및 변이종 식물바이러스까지 발견이 가능해 이 올리고 칩으로 콩, 큰조롱 등의 작물에서 세계적으로 보고되지 않았던 4개의 신종 바이러스도 발견했다.

그동안 식물바이러스 진단을 위해 이용해왔던 항혈청진단법(ELISA)과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진단대상으로 하는 몇 종의 바이러스만 검사가 가능했으며 진단대상이 아닌 바이러스와 새로운 바이러스는 진단하지 못했다.

농진청 관계자는 "이번 진단기술의 개발로 앞으로 식물바이러스병에 대한 신속 정확한 원인구명 및 발빠른 대책수립은 물론 진단에 따른 노동력, 비용, 시간도 크게 절약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동안 정밀 검사법을 갖추지 못해 새로운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체의 수입을 막는데 어려움이 많았는데 해외에서 들어오는 식물체에 대한 엄격한 검역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고형광 기자 kohk010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