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현장, ‘인공위성’ 으로 대처한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앞으로는 인공위성을 통해 폭설 등 자연재해 현장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5일 행정안전부는 “재해 대응 능력을 높이고자 인공위성 사진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망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우선 행안부는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과 함께 재해 발생 지역의 인공위성 사진을 확보하고 이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의 정보망에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재해현장을 촬영해 무궁화5호 위성으로 중대본 등에 전송하는 위성중계(SNG: Satellite News Gathering) 차량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이로써 지금까지는 SNG 차량이 재해 현장에 출동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시·도 단위로 차량이 배치되면 대응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행안부 관계자는 “위성사진을 통해 재해현장을 파악하면 다양한 대책 마련이 가능해진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