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민원넣기 겁나는 식약청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공무원의 '막말 논란'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번엔 식품의약품안전청 직원이다. 불법 의약품을 신고하는 민원인에게 욕설하고 우롱한 사실이 드러났다.

사실 막말 공무원은 우리에겐 그리 생소한 단어는 아니다. 각 시ㆍ군ㆍ구청이나 경찰서 등의 홈페이지에는 공무원의 태도가 불쾌하다는 글이 언제나 상당수를 차지한다. 주로 반말을 하거나 불친절한 태도를 보였다는 내용이다. 물론 '막말'에도 변명의 여지는 있다. 공무원 신분을 떠나 한 명의 자연인으로서 다짜고짜 반말로 시비를 거는 민원인을 항상 '웃는 낯'으로만 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하지만 공무원의 막말 논란이 단순 '쌍방 과실'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는 것은, 그가 종사하고 있는 직종의 근본적 본질에 기인한다.

인권위도 최근 "피진정인은 국가공무원으로서 친절하게 대응하고 품위를 유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면서 "이러한 발언 등은 국가공무원법과 헌법이 보장하는 진정인의 인격권을 침해한 것이다"고 판단했다. 또 식약청장에게 기관 차원의 대책 수립과 인권 교육을 권고했다. 공무원에겐 품위를 유지하고 국민에게 친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근본적인 '의무'라고 판단한 것이다.

문제는 매번 되풀이 되는 대책수립과 인권 교육만으로는 이 같은 폐단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데 있다. 공무원 스스로가 직업의 본질을 인식하지 않으면 그 어떤 인권 교육도 시간 낭비일 뿐이다. 다산 정약용은 세상이 올바르게 돌아가고 백성들이 잘 먹고 잘사는 세상이 되기를 바랐다. 공직자들이 청렴하고 자기 관리에 철저하면 그런 세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었다. 우리 주변에는 다산의 믿음을 실천하는 공직자들도 많다. 다소 불쾌한 민원인의 말투를 이겨낼 '공력'이 없다면 국가의 살림을 책임질 '자격'도 없다는 정신이 공직사회에 더욱 확산되기를 기대해 본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