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北, 中개혁개방 채택해야..평양 긴장완화 신호 없다"(종합)

FT 인터뷰.."G20 무역불균형 가이드라인 낙관..수치목표 불확실"

[하노이(베트남)=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북한에 대해서 중국식 개혁개방 방식을 (채택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발간된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 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남북 문제와 관련해 "평화 정착과 공동 번영이 궁극적으로 통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세계에 문호를 개방하면 국가번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북한 김정일 위원장이 직접 목도하면서, 오늘날의 중국에 대해 훨씬 더 많은 것을 깨닫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중국의 정치적 영향권으로 더 깊숙히 편입될 것이냐 아니면 내부 분열로 갑자기 붕괴될 것이냐'는 질문에 두가지 경우가 다 바람직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북한의 점차적인 개혁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비록 속도는 무척 더디더라도 북한은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이같은 발언에도 불구 "이 대통령이 지난 3월 한국 천안함을 잠수정 어뢰로 공격한 북한이 여전히 '호전적' 세력이라고 말했다"면서 "그는 또한 김 위원장의 3남 김정은이 후계자로 낙점된 상황에서 평양으로부터 긴장완화 신호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다.이 대통령은 통일세에 대해 "남북의 엄청난 격차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통일비용을 줄이기 위해 제안한 통일세는 북한의 급변에 대한 우려가 아니고 국민들에게 미래의 과제를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G20 서울 정상회의와 관련해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무역 불균형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도출에 대해 낙관하나 수치 목표 설정은 불확실하다"고 알렸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행의 자본유출입 추가 대응책 검토 의견에 대해 "이것이 자본통제가 아니라 거시건전성 정책의 일환이며 개별국가의 대응까지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면서 "이러한 모든 조치는 예외적 조치가 아니라 국제 협력의 일부며 G20 정책권고와도 부합한다"고 언급했다.



하노이(베트남)=조영주 기자 yjc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