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료, 판매량 저조에 내년에도 물가급등 영향 비관적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KB투자증권은 1일 판매량 저조로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는 음식료업종이 내년엔 물가급등으로 수익성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업종 최선호주로는 국제곡물가 급등에서 자유롭고, 담배세 인상 및 고가담배 출시 등으로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KT&G 를 꼽았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7만원 유지)이소용 애널리스트는 "음식료 유니버스 기준 3Q10 영업이익은 전년동기12.2% 감소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며 판매량 저조 및 가격결정력 약화로 부진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욱이 올 하반기 국제곡물가 급등으로 2011년부터 원가상승 압박이 시작돼 추가적인 수익성 악화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KB투자증권은 음식료 유니버스 기준 3분기 매출액이 2조8600억원으로 (전년동기 +0.7%), 영업이익 4516억원(-12.2% ), 순이익 3921억원 (-11.7% )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업체별로 살펴보면 오리온만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하고, 그 외 업체들은 전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담배, 소주, 라면 등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해당업체들의 매출액이 정체하거나 감소하고, 영업이익 또한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오리온은 프리미엄 제품 성공 등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하지만 마케팅비 증가로 시장 추정치대비 10.8%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원가급등에 내년도 수익성 악화도 우려했다.

실제 기상악화 영향 등으로 2009년말 대비 2010년 9월말 소맥, 원당, 대두가 각각 61.7%, 30.6%,20.0% 상승했다. 국제곡물가 급등은 2분기부터 시작됐기 때문에 6개월 lagging하는 원가특성 상 2011년부터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음식료업체의 가격결정력 약화로 원가 상승분이 전부 판가에 반영되기 쉽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국제곡물가 상승은 CJ제일제당 등 중간재업체에 먼저 영향을 미치고, 그 이후 오리온 등 소비재업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최선호주로 꼽은 KT&G는 국제곡물가 상승에서 자유롭고 기존 악재였던 내수담배시장 판매량 감소와 시장점유율 하락 폭이 둔화되고 있으며 2011년 환율하락에 따른 원가하락, 담배세 인상 및 고가담배 출시로 인한 ASP 상승 가능성으로 최악의 영업환경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