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공관리제 오늘부터 전면 시행..애타는 건설사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지역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에서 1일부터 공공관리제도가 전면 시행됐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의 기존 재개발·재건축 수주 전략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공공관리제 전면시행으로 시공사 선정시기가 기존 '조합설립 인가 이후'에서 '사업시행 인가 이후'로 바뀌었고 시공사 선정 주체가 조합이 아닌 자치구청장 등 공공이 맡게 됐기 때문이다.

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각 건설사들의 정비사업 부서는 서울 지역에서 공공관리제도가 전면 시행되면서 영업조직 재정비와 수주 전략 수정 등을 모색하고 있다.공공관리제는 자치구청장이나 SH공사,주택공사 등이 공공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 과정에 참여해 사업 진행을 돕는 제도다. 재정비 사업 초기 개발이익을 노린 추진원회가 난립하면서 각종 비리가 일어나고 사업 비용이 높아지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서울시는 공공관리자제가 전면 시행으로 재정비 사업의 투명성이 강화되고 사업비가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비사업 기간도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공관리 기간은 정비구역을 지정한 날부터 사업시행 인가 후 시공자 선정까지다. 이를 건설사 시각에서 본다면 공공관리제가 시행되면 시공사 선정시기가 사업시행인가 이후로 늦어지기 때문에 최소 1년 이상 서울에서 재개발·재건축 수주가 불가능해진다는 의미다. 입찰 과정에서도 설계도면과 내역서 등을 모두 갖춰 투명하게 진행해야 하며 조합주관의 합동설명회 이외 건설사들의 개별 홍보가 금지된다.

건설업계는 이에 따라 그동안 서울에 집중했던 재개발·재건축 시공권 수주를 경기도와 인천 등 사업성이 양호한 지역을 중심으로 분산시킬 계획이다. 공공관리제 전면 시행으로 앞으로 1~2년간 서울에서 재건축 물량을 수주하기 힘들어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건설사들의 수주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부천 소사본, 원미, 심곡 등 수도권 재정비촉진지구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서울지역의 공공관리제 전면시행과 내년도 사업 계획 구상 등과 맞물려 연말쯤 조직이 재정비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울지역은 기존 수주 현장의 공사 착공에 매진키로 하고 현장별 사업 진행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현재 수주 후 착공에 들어가지 못한 사업장이 100여곳이 된다"며 "수주 물량의 착공이 빠른 시일내 들어갈 수 있도록 현재 수주 현장별 사업 진행 상황을 실시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