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8%대로 크게 둔화”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대비 8%대까지 크게 둔화됐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부터 시행한 대규모의 경기부양책이 철회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개 기관의 전문가들에게 계절조정을 감안한 분기대비 중국 경제성장률을 조사한 결과, 중국 1분기 경제성장률은 10.4%, 2분기는 8.4%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전년동기와 비교해 발표한 1분기 11.9%, 2분기 10.3%에 비해 성장률이 크게 둔화된 것.또한 전문가들은 중국 3분기 경제 성장률을 7.9%, 4분기 8.3%로 제시하면서 내년에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9%대로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 경제 성장률이 다시 가속화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올 4분기와 내년 2분기로 의견이 갈렸다. 세계은행(WB)은 중국 올해 경제성장률을 9.5%로, 국제통화기금(IMF)은 10.5%로 전망한 바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지난달 분기 보고서를 통해 “중국 경제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보이지만 안정세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더블딥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는 “최근 중국 경제는 상반기 급성장을 달성한 후 조정 국면을 맞고 있다”면서 “이는 중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산업 재편을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WSJ은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전년동기대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만을 발표하고 있다며 전년동기대비 GDP성장률은 전분기대비보다 경제의 전환점을 파악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인민은행은 지금까지 발표해 오던 분기별 성장률을 지난 2분기에는 공표하지 않았다. 더구나 전문가들은 인민은행의 분기별 성장률이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해 3분기 성장률을 11.0%, 4분기 11.3%로 발표했지만 WSJ은 각각 10.7%, 10.1%로 제시한 바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부터 선진국처럼 계절수정치 분기대비 성장률을 집계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아직까지 한번도 발표하지 않았다.

한편 이번 WSJ의 조사에는 바클레이스캐피탈, 캐피탈이코노믹스, 차이나인터내셔널캐피탈, 씨티그룹, 도이체방크, 골드만삭스, JP모건체이스, 모건스탠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로얄뱅크오브스코틀랜드, 스탠다드차타드뱅크, UBS 그리고 독립 경제전문가 알버드 케이델이 참여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