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北 해외비자금 관리 금융인 3명 제재 대상

김정일 통치자금 조달책..제재시 지도부 '타격'

[아시아경제 이승국 기자] 미국이 김동명 단천상업은행장 등 북한의 해외 비자금을 관리ㆍ운용하는 금융인 3명을 추가 금융제재 대상으로 지목할 것으로 알려졌다.이는 해외 불법활동으로 조성되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통치자금을 겨냥한 것으로, 실제 이들이 제재 대상에 포함될 경우 북한 지도부는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4일 "미국 정부와 정보당국은 이미 김동명 행장을 비롯해 북한의 해외 비자금을 오퍼레이트(operate.운용)하는 세 사람을 특별히 지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버트 아인혼 미 국무부 대북ㆍ대이란 제재 조정관도 지난 2일 서울 용산구 남영동 주한 미 대사관 공보관(IR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향후 대북 금융제재 명단과 관련, "북한의 특정 기업이나 개인 이름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이들 금융인 3명은 해외에서의 무기수출과 마약거래ㆍ위폐제조 등 불법행위로 벌어들인 수억 달러의 비자금을 가명계좌 형식으로 관리ㆍ운용하는 등 김 위원장의 통지자금 조달책 역할을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또 무역회사 중 불법활동 의혹을 받고 있는 조선광업개발무역과 조선련봉총기업도 추가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2개 기업은 현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안 1718호와 1874호, 행정명령 13382호에 따라 제재 대상으로 지정돼 있다.

현재 13382호 등으로 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 기업은 총 20개, 개인은 김동명 행장 등 3명이다. 장성택 국방위 부위원장과 김영춘 인민무력부장 등은 제외될 전망이다.

또한 김 위원장의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동당 38호실, 39호실 산하 무역회사 100여개가 포함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으며, 북한이 올초 비자금 40억달러를 예치한 것으로 알려진 룩셈부르크와 중국 계좌도 제대 대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승국 기자 inkle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