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10채 중 5채 집값 ↓..'강남·노도강'이 주도

[아시아경제 문소정 기자] 서울아파트 10채 중 약 5채의 집값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가 서울 소재 3007개 단지, 127만1108가구의 올 초 대비 7월 넷째주 매매가룰 조사한 결과 958개 단지, 63만110가구가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이는 서울시 전체 아파트 물량의 50%에 달하는 수치로 같은 기간 상승한 731개 단지, 22만9289가구의 3배에 가까운 물량이다. 나머지 1318개 단지 41만1709가구는 올 해 들어 가격 변동이 없었다.
";$size="550,205,0";$no="2010080119495498966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권역별로는 강남권(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에서 211개 단지 15만4934가구가 하락했고 노도강(노원구, 도봉구, 강북구) 지역은 198개 단지 14만5690가구의 집값이 떨어졌다. 강남권과 노도강 지역에서 하락한 가구수만 총 30만624가구로 서울시 전체 하락단지 중 47.71%나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size="342,737,0";$no="2010080119495498966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서울 25개 구 중 하락단지가 가장 많았던 곳은 노원구로 서울 전체 하락단지의 15.32%(9만6550가구)를 차지했다. 이어 ▲송파구 7만4697가구(11.85%) ▲강남구 5만8554가구(9.29%) ▲양천구 4만3139가구(6.85%) ▲강동구 3만3263가구(5.28%) ▲도봉구 3만3216가구(5.27%) ▲성북구 3만3786가구(5.20%) 순으로 가격 하락단지가 많았다.

개별 단지로 살펴보면 가장 많은 단지가 하락한 노원구에서는 월계동 삼호3차의 3,3㎡당가가 올 초 1410만 원에서 현재 1260만 원으로 10.64% 하락했다. 중계동 무지개아파트도 9.48% 떨어지면서 3,3㎡당 매매가가 1052만에서 953만원으로 내려갔다.

송파구에서는 가락동 가락시영2차가 13.17%(4616만→4008만원), 잠실동 주공5단지는 9.24%(3780만→3431만원)의 내림세를 보였다. 강남구는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12.27%(3315만→2908만원), 개포동 주공6단지도 10.11%(3149만→2830만원) 떨어졌다.양천구 신정동 신시가지14단지와 목동 한신청구는 각각 7.83%(2535만→2337만원), 7.81%(1939만→1788만원) 뒷걸음질 쳤고 강동구 상일동 고덕주공3단지는 12.22%(3918만→3439만원), 둔촌동 둔촌주공2단지가 10.12%(3900만→3505만원)의 하락세를 보였다.



문소정 기자 moons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