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목·원전 등 수익원 넓혀야

[칼바람 건설사 탈출구 찾아라]<3>선진모델 사업 개발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김중겸 현대건설 사장은 요즘 "변화와 혁신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김 사장이 취임 후 임직원 교육 예산을 기존보다 3배 이상 확대시킨 것도 빠른 속도로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국내 주택사업에 치중해 왔던 두산건설은 최근 KEPIC(전력산업기술기준) 인증서를 획득했다. KEPIC인증은 지식경제부 기술 표준원과 한국전력공사 등이 개발하고 대한전기협회에서 관리하는 전력산업 설비와 기기에 대한 기술 및 품질에 대한 인증으로, 국내 원자력 발전소 시공 입찰에 참가하려면 꼭 받아야 한다. 기존 주택 및 토목사업만으로는 위기를 헤쳐나가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건설업계가 구조조정 대란에서 생존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구조조정 대상에서 벗어난 건설사들은 체질개선 작업에 한창이다. 과도한 주택사업의 비중을 줄이고 국내외 신규사업 비중을 높이기 위해 포트폴리오 재편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구조조정 대상에 이름을 올린 기업들도 고정비를 최소화하고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 돌입했다.전문가들은 이번 구조조정을 건설산업의 선진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건설 및 관련산업이 협력해 유연성부터 길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 과거처럼 시장의 수요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무조건 짓고 보자는 식으로 주택을 공급한다면 부도 도미노는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실제 올해 구조조정 대상 업체 결정의 주요 잣대였던 입주 및 미분양 물량도 2007년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앞 다퉈 밀어내기 분양에 나선 영향이 컸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 금융경제연구실장은 "주택건설산업은 몇 년씩 공사를 지속해야 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기르기가 쉽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유연성을 키우려면 건설사는 물론 금융 등 연관산업 모두가 협력해 사업계획을 수립,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사가 개발사업의 위험을 책임지게 돼 있는 현재 공모형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사업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전략적 투자자, 재무적 투자자, 건설 투자자로 구성된 공모형 PF는 이론상 재무적 투자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뒤 사업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구조로 이뤄진다. 하지만 현재 사업구조는 건설사가 PF대출금에 대한 지급보증을 해야 대출이 이뤄지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단군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중단 위기에 처한 것도 이같은 불완전한 사업 구조 때문이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원은 "지금처럼 시공사가 위험부담을 모두 떠안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부동산 시장 위기때마다 건설사들이 줄줄이 쓰러질 수 밖에 없다"며 "모든 투자자들이 위험과 수익을 공유하는 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수익원이 주택사업 분야로 한정된 것도 점검해야 할 분야다. 수익원을 다양화 시키기 위해 해외 건설현장이나 원자력발전소 시공 수주 등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한종효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향후 건설사의 성장 동력은 해외에서 확보 가능하다"며 "원전, 플랜트 중심으로 수주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회사내 의사결정구조 혁신, 민주적인 토론 문화, 글로벌 인재 육성과 첨단기술 육성, 금융조달 기법 창출 및 전문가 육성, 해외 건설시장 정보 관리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동시적인 변화와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건설사의 독단적인 의사결정구조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전문가들은 민주적인 토론 문화 육성과 더불어 인력 양성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지적한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이은정 기자 mybang21@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