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 시장서 몸값 높이려면 IPO 나서라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인수합병(M&A) 시장에서 몸값을 올리려면 기업공개(IPO) 출사표 먼저.'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IPO 신청이 M&A 시장에 매물로 나온 기업의 프리미엄을 높이는 수순으로 굳어지는 양상이다. 특히 사모펀드나 벤처캐피털이 투자한 기업들 사이에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진다. 피인수를 원하는 기업이 먼저 IPO를 신청해 몸값을 높이고, 증시 입성 대신 M&A 계약을 체결하는 형태다. 말하자면 '양다리 걸치기' 전략을 펼치는 셈.실제로 저널오브비즈니스벤처링 7월호에 따르면 이 같은 전략을 취한 피인수 기업이 단순히 인수 업체를 물색해 M&A에 골인한 기업에 비해 26% 높은 프리미엄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냉동 야채 업체인 버즈 아이 푸즈가 대표적인 사례. 바스타 캐피털 파트너스가 지배주주였던 버즈 아이 푸즈는 지난해 10월 IPO를 신청했으나 한달 뒤 블랙스톤이 소유한 피나클 푸즈에 인수됐다. 인수 가격은 13억달러.

연구에 참여한 브리검 영 대학의 제임스 브로 재무학 교수는 벤처캐티털이나 사모펀드가 소유하지 않은 기업도 이른바 '양다리' 작전을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전했다. 그는 "자본시장의 스마트머니는 이미 이 같은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며 "투자 자금을 회수하는 데 다각도의 전략을 취해 인수 경쟁을 높이는 한편 시장의 관심을 끌수록 인수 가격도 높아지게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수 프리미엄은 증시 입성을 앞둔 시점이 가장 높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IPO 신청을 함께 진행하면 M&A만 추진할 때보다 높은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지만 투자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한 가지 전략을 선택한다면 M&A보다는 IPO가 유리한 카드"라고 조언했다.한편 최근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IPO와 M&A 모두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IPO를 추진중인 상당수의 기업이 가격을 낮추거나 일정을 연기했고, 신용 경색 조짐으로 인해 M&A 역시 위축되는 양상이다. 시장조사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2분기 글로벌 M&A는 전분기 대비 3% 감소했다.

심슨 대처 앤 바틀렛의 리처트 카페로토 변호사는 "기업이 유동성을 확보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며 "M&A 시장이 활황은 아니지만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을 갖춘 기업이라면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기회가 많아졌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공수민 기자 hyunhj@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