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웨이, 부산에 3번째 글로벌 물류 허브센터 오픈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암웨이가 부산신항만 자유무역지역 내에 '암웨이 아시아 물류허브 센터'를 오픈하고 22일 오전 11시 국토해양부, 부산지방해양항만청, 부산항만공사, 부산본부세관, 부산국제물류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오픈 기념식을 가졌다.

미국 에이다(Ada)와 네덜란드 벤로(Venlo)에 이어 세 번째로 설립된 암웨이 아시아 물류허브 센터는 암웨이의 아시아 지역 물류전담 기지로써 연간 8000TEU(환적 6000TEU 및 국내 2000TEU), 약 1조원 가량의 물동량을 담당할 예정이다.암웨이 측은 이곳에서 조립(Light Assembly), 라벨링(Over-labeling), 재포장 및 배송(Rework & Delivery) 업무를 진행함으로써 연간 5만여명의 고용이 창출되고, 물류센터 및 생산시설 원·부자재의 국내 조달과 다양한 제품을 한국에서 공급해 향후 5년간 약 1000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부산이 홍콩, 싱가포르, 중국, 일본 등과의 경쟁을 거쳐 암웨이 아시아 물류허브 센터를 유치하게 되면서 그동안 글로벌 암웨이의 미국 본사에서 아시아 각국으로 공급되던 제품들이 부산을 거쳐 한국과 일본, 태국, 홍콩,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와 러시아 지역에까지 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현재 이곳에는 디지털 피킹 시스템(Digital Picking System)을 이용한 국내 배송 서비스, 가정용기기 조립 라인·라벨링 라인, 재포장 라인 등 포스트폰먼트(Postponement)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생산시설과 각 아시아 국가 및 동 러시아로의 환적 화물에 대한 물류기능이 효율적으로 통합돼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고부가가치 물류 시스템으로 운영중이다.글로벌 암웨이 물류담당 켄 데이비스(Ken Davis) 부사장은 "암웨이 본사는 앞으로 '암웨이 신기술·원료 글로벌 사업화 프로젝트' 연계 제품의 국내 소싱을 진행하고 부산 물류허브 센터를 통해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발전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데이비스 부사장은 또 "암웨이 아시아 물류허브 센터가 암웨이의 글로벌 3대 물류축의 하나로 기능을 충실히 하고 사업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부산 지역 고용 및 경제효과 창출 등 국내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바이코리아(Buy Korea) 정책에도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암웨이 박세준 대표는 이날 암웨이 아시아 물류허브 센터의 국내 유치와 국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로 국토해양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조인경 기자 ikj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