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CEO와 티타임]"에너지자원 민간투자 필요"

-김범석 더커자산운용 대표
-기관 연기금 개인 등 참여 펀드 만들어야

[아시아경제 정재우 기자] "에너지 자주개발률(연간 소비하는 에너지 중 우리가 직접 확보 생산한 에너지)이 50%는 넘어야 되는데 지금처럼 정부예산에만 의존하는 투자방식을 고집해서는 안 됩니다."

김범석 더커자산운용 대표(사진)는 "에너지 자원에 대한 투자환경의 변화가 절실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자본 유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정부가 에너지자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에너지 자주개발률은 한자리밖에 안 된다"며 경제규모에 맞지 않는 현실을 꼬집었다.

그는 또 "포스코, 한전, 석유공사 등의 기관과 연기금, 기관ㆍ개인 투자자들까지 함께 투자하는 펀드를 만들어 성공 선례를 만들어야 한다"며 "투자자들이 에너지 자원에 투자해도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실제 김 대표는 몽골에서 우라늄을 개발하는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는 "한전과 민간자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공모 펀드에 대한 욕심도 숨기지 않았다. "처음부터 공모펀드에 대한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라이센스도 취득해 둔 상태"라며 "좋은 선례가 만들어지면 공모펀드를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사모펀드는 라이센스 없이도 만들 수 있다.

김 대표는 수급 측면에서도 에너지자원 펀드의 전망은 밝다고 전했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발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1년 정도 에너지자원을 포함한 원자재 부문에 신규투자가 이뤄지질 않았기 때문에 조만간 공급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시기가 올 것"으로 그는 예상했다.

경기 회복이 빨라질수록 공급이 수요를 못 따르는 시기는 빠르게 올 것이라며 향후 투자가능성이 크다고 피력했다. 가격이 오를 것이 분명하니 투자하지 않을 수 없다는 얘기다.

김 대표는 개척자형 CEO다. 그는 이미 국내 최초로 유전에 직접 투자하는 '베트남 유전개발 펀드'를 만들었고 국내 최초의 공모 블라인드 펀드(투자대상을 미리 정하지 않고 돈을 모으는 펀드)인 베트남 부동산펀드를 통해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정재우 기자 jjw@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