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 11번가 위탁운영..'꿩먹고 알먹고'

독점이익 축소·부당지원 의혹

[아시아경제 전필수 기자, 임선태 기자]SK텔레콤이 오픈마켓 ‘11번가’를 자회사에 위탁운영시키면서 부당지원을 금지하는 공정거래법을 교묘히 피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또 이를 통해 자회사 손실을 숨기면서 독과점 상태인 이동통신시장에서 독점이익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3일 시민단체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2008년 ‘11번가’ 운영을 시작하면서 100% 자회사인 커머스플래닛에 위탁했지만 매출과 비용 등 회계는 분리하지 않고 있다. 커머스플래닛에 11번가 사이트 운영을 비롯해 11번가의 사업기획/PR/전략/마케팅 등을 맡기면서도 매출과 비용은 SK텔레콤으로 잡고 있는 것.이 방법 덕에 SK텔레콤은 2008년 한해 11번가에 1000억원 가량을 지원하고도 어떤 제재도 받지 않았다. 시민단체로부터 지적받는 과도한 이익에 대해서도 일정부분 축소할 수 있었다. 실질적으론 자회사인 커머스플래닛이 운영주체지만 회계상으론 SK텔레콤의 사업부서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커머스플래닛도 SK텔레콤의 이같은 지원을 등에 업고, 론칭비용만 350억원을 쓰면서 사업 첫해인 2008년 거래액 6000억원 돌파, 2009년 거래액 1조원 돌파, 2010년 오픈마켓 1위 업체 등극이라는 야심찬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커머스플래닛은 SK텔레콤이 2007년 11월 인수한 회사로 자본금이 2억9000만원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와 업계 관계자들은 “SK텔레콤이 독점이익을 설비투자에 활용해 다른 나라보다 비싼 통신요금을 인하하는데 쓰지 않고 문어발식 사업확장에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SK텔레콤의 천문학적 이익은 경쟁사보다 유리한 고효율 주파수를 독점사용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를 통신업과 연관성이 적은 곳에 투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다.특히 오픈마켓 진출과정에서도 사업연관성이 아닌 자금상황을 고려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SK그룹은 2007년 온라인 상거래시장 진출을 결정하고 2008년 ‘11번가’를 론칭하면서 오픈마켓과 연계성이 높은 포털업체 SK커뮤니케이션즈(이하 SK컴즈) 대신 SK텔레콤을 사업주체로 결정했다. 2007년 335억원이 넘는 대규모 순손실을 기록한 SK컴즈 대신 잉여금만 12조원이 넘었던 SK텔레콤으로 선정한 것.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동통신의 경우 네트워크 대역폭의 한계, 데이터 요금제 과다 이슈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상태였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SK텔레콤은 11번가 사업은 사내 소사업제 성격으로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사내 벤처를 통해 사업을 육성한 후 독립시키는 것은 새로운 사업기회를 창출하는 정당한 방법이라는 주장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전필수 기자 philsu@asiae.co.kr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