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총리, 글로벌 은행세 도입 추진

[아시아경제 공수민 기자] 19일(현지시간)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가 글로벌 은행세 도입 가능성을 제기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정부의 막대한 지원을 받은 은행들에 이를 되갚는 방법의 일환으로 은행세를 물린다는 것이다.

영국 정부는 오바마 행정부의 은행세 방식을 그대로 따라할 계획을 없다고 밝혔다.
브라운 총리는 "글로벌 은행세는 오바마 행정부가 제시한 은행세처럼 구제금융 손실분 벌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장기적인 조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은행세 징수는 은행들의 금융거래 등을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아울러 그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오는 4월 글로벌 금융시스템을 좀 더 안전하게 만들 수 있는 은행세 도입에 대한 세부사항을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브라운 총리에 따르면 IMF는 미국 정부의 은행세 제안도 검토 중이다.

안데르스 보리 스웨덴 재무장관은 “그 동안 은행세 부과로 유럽지역 은행들이 경쟁력을 잃을까 우려했었만 미국이 이를 도입한다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다른 동료들도 은행세 부과를 지지할 것”이라며 고 말했다. 지난 주 오바마 행정부는 약 20여개 금융사에 수수료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한편 브라운 총리는 헤르만 판롬파위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만나 유럽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 그리고 강진 피해를 입은 아이티에 대한 지원을 논의했다.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공수민 기자 hyun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